간지론(심화)

제9장. 토종 약초의 효능

燕巖 2018. 5. 4. 22:46


9. 토종 약초의 효능 

 

 


1. 건강에 좋은 토종 약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요즘 약제로 분류된 전문적인 약초는 독소가 있어서 일반인이 사용하기 위험하여 식품으로 분류되어 독성이 없는 토종 약초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질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실을 감안하여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용할 만한 토종 약초 몇 가지를 소개한다. 학인들의 식견을 넓히는 데 활용이 있기를 바란다. 참고로 얼마 전에 민간 약초 중에서 항암 작용에 좋다는 약초들이 많은데 그것들을 10여 종류 모아서 성분 검사를 해 본 결과 느릅나무 뿌리껍질인 유근피가 가장 약성이 좋은 것으로 보도되었다.

 

 

(1) 천연 항생제 


 

마늘, , 생강, 양파, 다래, 초피,

천연 항생제는 저향력을 키우고 면역력을 강화시켜 세균성 질환에 효과가 좋고 이들 식품은 온갖 균을 죽이고 몸에 쌓인 독소를 밖으로 내보내는 효능이 있다. 감기와 가은 감염성 질환을 에방하는 역할을 하고, 바이러스성 질환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항생제를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몸이 항생제를 받아들이면 병원균도 항생제에 저항력을 갖게 되어 더욱 강해져서 전혀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항생제는 몸에 필요한 박테리아까지 모두 죽이므로 저항력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악순환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천연 항생제로 면역력을 기르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2) 겨우살이 

 

겨우살이는 잎과 줄기가 모두 진한 녹색이고 가지가 두 갈래로 갈라지고 가지에 잎이 마주나기로 난다. 잎은 선인장처럼 물기가 있고 연해서 잘 부러지지만 탄력이 있어서 바람에는 잘 견딘다. 열매는 겨울에 노랗고 투명한콩알 모양으로 열리는데 이것을 새들이 즐겨 먹는다. 열매에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어서 새들이 열매를 먹고 부리에 붙은 씨앗을 떼어 내려고 나뭇가지에 부리를 비빌 때 씨앗이 나무에 붙게 된다. 점액이 마르면 씨앗이 나뭇가지에 단단하게 붙어서 그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이 오면 씨앗이 나와 그 나무에 뿌리를 내려서 기생을 하는 것이다. 고혈압, 당뇨, 관절염에 효과가 탁월한 겨우살이는 참나무, 버드나무, 밤나무, 동백나무 등에 기생하는데, 말린 가지를 오랫동안 두면 황금빛으로 변한다. 유럽에서는 항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만병통치약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고혈압, 중풍, 반신불수, 관절염, 신경통, 협심증, 두통, 요통, 빈혈, 동맥경화, 신장염, 위궤양, 폐결핵

 

 

(3) 조릿대 

 

조릿대는 벼과에 딸린 늘 푸른 작은 키 나무이며 키는 1미터에서 2미터쯤 자라고 줄기는 지름 6밀리미터쯤으로 대나무 가운데 가장 작은 나무 종류다. 오랫동안 스트레스를 받거나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흔히 생기는 심화증과 당뇨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열을 낮추는 작용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을 쓰기 어려운 아기의 면역력 강화와 잔병치례를 예방한다. 화병에 최고의 명약이며 당뇨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항암 작용이 뛰어난 조릿대는 대나무과에 속하고 우리나라 산속 그늘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이다.

 

당뇨병, 화병, 위염, 기침, 면역 강화, 부종, 무좀, 피부병, 위암, 간 염, 황달, 스트레스, 고혈압, 위궤양, 협심증

 

 

(4) 천마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가 뇌혈관 질환이며 그중에서 중풍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잇다. 음으로 죽는 사람보다 중풍으로 죽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다. 날씨가 싸늘해지는 가을이나 추운 겨울에 중풍 발병률이 높다. 온도가 낮아지면 혈관이 수축되고 혈액이 응고되기 쉬워서 혈액의 흐름에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고혈압이 아니더라도 날시가 추워지면 혈압이 조금씩 높아지니 항상 몸을 따듯하게 하고 유의하기 바란다. 중풍, 고혈압, 두통에 명약 천마는 난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며 뿌리가 고구마처럼 덩이가 져 있다. 천마는 뇌질환 계통의 질병에 최고의 명약이라고 한다.

 

두통, 고혈압, 어지럼증, 중풍, 심장병, 손발 마비, 안면 신경 마비, 간질, 불면증, 우울증. 정신분열증, 폐암, 농약중독, 신경 쇠약, 피부병, 가려 움증, 에이즈, 위암

 

 

(5) 야관문 

 

부작용 없는 천연 비아그라 야관문은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며 우리말로 비수리라고 하낟.

야관문은 흔한 풀로 옛사람들은 이풀을 묶어서 빗자루로 사용했을 정도로 흔하여 천대를 받는데, 사실은 이 풀이 비아그라와 같은 효과를 지녔다고 한다. 여러 가지 남성 질환인 양기 부족, 조루, 유정, 음위증 등을 치료하는데 2~3일만 복용해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면 부작용이 전혀 없다고 한다. 야관문은 달여서 먹거나 가루 내어 먹으면 전혀 효과가 없고 반드시 술로 우려먹어야 효과가 있다. 야관문은 밤에 빗장을 열어 주는 약초라는 뜻이다.

 

양기 부족, 음위증, 조루, 기침, 백일해, 신경쇠약, 기력부족, 허약체 질, 당뇨병, 설사, 급성 위염, 간에 의한 눈에 충혈, 타박상, 천식, 대하, 탈항, 기관지염

 

 

(6) 생강나무 

 

잎이나 가지를 꺾어서 냄시를 맡으면 생강과 비슷한 냄새가 나는 나무가 생각나무라고 부른다. 생강나무는 이른 봄에 꽃이 제일 먼저 피는 나무 중에 하나다. 산수유 꽃을 닮은 노란색 꼬칭 개나리, 진달래, 산수유보다 먼저 피어서 봄을 알린다. 녹나무 과에 딸린 잎이 지는 떨기나무이고 개동맥‘, ’황매목‘, ’단향매‘, ’새앙나무‘, ’아기나무등으로 불린다. 모든 산후병의 명약 생강나무는 여성이 아이를 낳은 뒤에 나타나는 병으로 산후조리를 잘 못하여 생기는 병에 특효가 있다. 산후통의 원인은 어혈과 찬 기운이 원인인데 날이 궂으면 더욱 심해지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냉증, 산후풍, 간염, 간경화, 골다공증, 기침, 마비, 근육통, 구통, 관 절염, 신경통, 황달, 지방간, 멍든 데, 타박상

 

(7) 호깨나무 

 

호깨나무는 갈매나무과에백석목목밀현포리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호깨나무는 간을 비롯하여 몸 안에 쌓인 독을 풀어 주고 간이나 대장의 기능을 높여 주는 작용을 한다. 술로 인하여 간이나 위장 폐, 대장, 뇌 등이 나빠진 것을 고치는데 효과가 좋을 뿐 아니라 갈증을 없애고 구토를 멎게 하며 소변과 대변을 잘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일명 헛개나무로 잘 알려진 약초로 술로 인한 간 질환에 명약으로 알려져 잇는데 열매에 약효가 많다. 술을 물이 되게 하는 나무라고 하며 술독을 푸는 데 불가사의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술 중독, 지방간, 간염, 술로 인한 온갖 간 질환, 숙취, 간경화, 치 질, 부종, 식중독, 당뇨병, 황달, 관절염, 헛배

 

(8) 옻나무 

 

암 세포를 줄이고 어혈을 없애주는 옻나무는 가장 훌륭한 방부제이면서 살충제라고 하겠다. 위하수나 자궁암에 많이 사용하는 옻나무는 우리나라 전통 나무그릇에 칠하는 재료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가을에 껍질을 채취하거나 5~7월에 진을 받아서 사용한다. 옻은 좋은 약이기도 하지만 독성이 강하여 오리, 염소, 닭 등과 함께 요리를 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옻을 복용하다가 옻이 오르면 백만이나 녹반을 물에 풀어서 바르면서 복용한다.

주의할 것은 옻을 복용하고 나서 옻이 올랐을 때 혈관 주사를 맞으면 절대로 안 되는데 부작용으로 목숨을 잃는 수가 있다.

 

어혈, 간염, 간경화, 신장염, 부종, 갖가지 암, 위염 등

 

(9) 접골목 

사람의 수명은 뼈와 관계가 깊은데 뼈가 튼튼하면 병이 없이 오래 사록 뼈가 약하면 병이 많고 일찍 죽는다. 살을 찌개 하고 근육을 튼튼하게 만드는 음식이나 약초는 많으나 뼐르 튼튼하게 하는 식품이나 약초는 그리 많지 않다. 칼슘이 뼈에 좋다고 멸치나 우유를 많이 먹는다고 뼈가 튼튼해지는 것은 아니다. 뼈를 살찌게 하고 골다공증에 좋은 약초는 바로 접골목이다. 접골목은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하는 최고의 보약이다. 골다공증과 기미 그리고 주근깨를 없애는 접골목은 뼈를 살찌게 하는 유일한 약초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연의 약초 가운데 통증을 가장 빨리 멎게 하는 것이 접골목이라고 할 수 있다. 골절, 골다공증, 관절염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한다.

 

골다공증, 뼈가 부러진 데, 류머티즘 관절염, 타박상, 부종, 복수, 신장 염, 통풍, 인후염, 기미, 주근깨, 습진, 무좀

 

(10) 노박덩굴 

 

성인의 60% 이상 생리통으로 고생을 하고 있으며 갈수록 숫자가 늘어가고있는 상태라고 한다. 그 가운데 10%는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한 통증을 느낀다. 생리통은 몸이 차갑거나 콩팥의 기능이 약한 여성들에게 많다. 노박덩굴은 남사등, 금홍수, 지남사, 백룡, 과산룡 등으로 부른다. 생리통과 냉증에 특효가 있는 노박덩굴은 민간에서 널리 쓰이는 익모초, 접시꽃 뿌리, , 홍화, 당귀 등에 비해서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리통, 냉증, 불임증, 신경통, 관절염, 설사, 탈항, 양기 부족, 두 통, 요통, 피부병, 이질, 치질, 사지 마비

 

 

(11) 함초 

 

함초는 식물학적으로 고생 식물이며 원시 식물의 형태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

은행나무처럼 원시 식물에 가까운 화석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함초는 지구상에서 기원이 가장 오랜 식물로 모든 식물의 조상이 되는 식물이라 하겠다. 천연 식물소금 함초는 죽염을 대신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건강식품이 되었다. 가장 우수한 소금을 함유한 식물로 3천 년 전에 중국에서는 함초를 하늘에 바쳐 제사를 지냈고 불로장생하게 하는 풀이라고하였다. 함초는 50%가 식물성 섬유질로 되어 있고 칼슘은 우유보다 7배가 많고 철은 다시마의 40배가 많으며 칼륨은 굴보다 3배 많다. 숙변을 제거하고 중성 지방을 제거하며 각종 필수 미네랄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는 종합 영양제라고 볼 수 있다.

 

잇몸 질환, 치통, 변비, 위장병, 위염, 위궤양, 신장염, 소변 빈삭, 악성 빈혈, 자궁, 물혹, 잦은 악몽, 요로 결석

 

 

(12) 하수오 

 

백발을 검어지게 하는 자양 강장제로 유명하고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이라고 전해져 온다. 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신경 쇠약이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능이 있다. 하수오는 노인들의 기력을 돕는 데 매우 좋은 약초라고 한다.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고 희어지지 않으며 오래 먹으면 노화를 예방한다고 한다. 하수오 중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백 하수오와 적 하수오가 있고 그중에 백 하수오를 약으로 쓴다. 뿌리를 캐면 쌀뜨물에 담갔다가 꺼내서 말려 사용한다.

강장, 빈혈, 이명증, 피로 회복, 동맥경화, 허약 체질, 불면증, 신경쇠 약, 변비, 머리를 검게 할 때, 치질, 무릎이 아프고 힘이 없을 때, 건망 증, 병 후 조리, 정력 감퇴, 생리불순

 

(13) 독을 푸는 약초들 

-. 일산화탄소 중독을 푸는 : 구기자

-. 방사선 독을 푸는 : 삼지구엽초

-. 수은 중독에 청미래 덩굴과 감초, 두릅나무 잎

-. 식중독을 푸는 봉선화와 쥐깨풀

-. 가스 중독과 독사에 물린 데 쇠비름

-. 농약 중독이나 약물 중독에 어성초

-. 향균과 항암 효과가 뛰어난 고추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