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강. 격국론(格局論) 제12강. 격국론(格局論) 1). 격국이란 무엇인가? 격국이란 사주팔자의 그릇 또는 이름이며 그 사람의 체질이고 사주팔자를 규정짓는 것이며 그것에 따라서 용신도 결정된다. 격(格)은 사주 중에서 월지를 중심으로 가장 기세가 강한 오행을 따라 이름 지은 것으로 사주를 분류하는 유형이.. 간지론(중급) 2015.10.17
제11강. 용신론(用神論 제11강. 용신론(用神論) 일간이 강하면 그 기운을 유출시키거나 억제를 시켜 주고 일간이 약하면 기운을 보충시켜 주는 자가 용신이 되는 것이다. 사주가 너무 지나치게 춥거나 더운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조후 용신이라 하여 균형을 맞춰 주는 자가 용신이 된다. 내 사주에서 꼭 .. 간지론(중급) 2015.10.14
제10강. 격국용신론(格局用神論)의 역사 제10강. 격국용신론(格局用神論)의 역사 1) 감명법의 변화 사주명리학의 감명법은 초창기 신살론을 지나서 현재는 가장 핵심적인 감명법은 격국(格局)과 용신(用神)이다. 요즘 들어서 일부 학자들은 격용론이 오류가 많고 잘 맞지 않는다고 하여 격국 용신 무용론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사.. 간지론(중급) 2015.10.14
제9강. 12운성 이해 제9강. 12운성 이해 12운성 이해 12운성은 재관을 운에 정확하게 대입을 시켜서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정확하게 파악을 하면 사용을 할 때 제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12운성이다. 1) 12운성(十二運星)의 해석 양은 솟아오르고 발산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주로 순행하고 음은 떨어뜨리.. 간지론(중급) 2015.10.13
제8강. 지장간(支藏干) 이해 제8강. 지장간(支藏干) 이해 지장간(支藏干) 이해 천간은 명이고, 지지는 실인데, 실제의 어떤 존재 요소들은 이것저것 여러 개 섞이어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천간적인 기운으로 대표시킨 것이 지장간이다. 1). 지장간(支藏干) 이것이 지장간이다. 전에 알던 지장간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 .. 간지론(중급) 2015.10.11
제7강. 육친론(六親論) 제7강. 육친론(六親論) 육친론(六親論) 십신은 타고난 정기신의 ‘사회적’ 속성에 대한 명명이고, 육친론은 친족 관계에 대한 호명체계다. 사주 명리 학의 클라이막스 이자 최후의 승부처에 해당한다. 내 운명의 구체적 현장과 그 문턱을 동시에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주름에 주.. 간지론(중급) 2015.10.07
제6강. 근묘화실(根苗花實) 제6강. 근묘화실(根苗花實) 근묘화실(根苗花實) 사람의 운명도 자연의 성장 과정과 같은 이치에 있다고 본다. 파격사주 감명법에는 매우 중요하게 쓰인다. 근묘화실은 뿌리 근, 모 묘, 꽃 화, 열매 실이다. 4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사주는 각각 그 위치에 따라서 어느 기간을 관장하고 어.. 간지론(중급) 2015.10.06
제5강.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제5강.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글자들 중에서 어느 오행이나 육친이 많은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힘 있고 강한 글자가 어느 오행에 속하고 어느 육친에 해당하는가를 구분하는 것이다. 기준은 천간은 3개 이상, 지지는 2개 이상이 있음.. 간지론(중급) 2015.10.05
제4강. 사주에 없는 글자의 해석 제4강. 사주에 없는 글자의 해석 사주에 없는 글자의 해석 사주를 감명함에 있어서 오행이나 육친의 있고, 없고 그리고 많고, 적고를 먼저 구분하여 분석을 시작한 다음에 점차 더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먼저 사주에 없는 기운과 강한 기운을 관찰하는 것이야 말로 사주 감명.. 간지론(중급) 2015.10.02
제3강.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제3강.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사주명조 작성법 사주팔자(四柱八字)의 뜻을 풀이하면 사주는 4개의 기둥이란 말로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를 말하며 각 기둥이 두 글자씩을 만들어 모두 여덟 글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팔자(八字)라고 한다. 여기에 생년, 월, 일, 시.. 간지론(중급) 2015.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