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강. 지지 충, 형(沖, 刑) 제10강. 지지 충, 형(沖, 刑) 합은 서로 합쳐져서 다른 것이 되는 관계를 말하고, 충은 서로 부딛혀서 변화를 이끄는 관계를 의미한다. 형(刑)이란 충(沖)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작용력은 약하고 형벌과 수술 그리고 조정의 의미를 가진다. 합과 충은 천간은 천간끼리, 지지의 합과 충과 형.. 간지론(기초) 2015.09.21
제9강. 지지 합(地支 合) 제9강. 지지 합(地支 合) 지지육합(六合) 지지 육합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합으로 서로 돕는 역할을 한다. 긍정적 의미의 합으로 지혜, 생산, 총명의 의미를 가진다. 지지 육합은 12지지가 서로 합하여 6개의 합이 된다는 뜻에서 6합이며 긍정적 의미의 합으로 지혜, .. 간지론(기초) 2015.09.18
나를 가장 값싸게 사랑하는 방법 나를 가장 값싸게 사랑하는 방법 나를 위해 돈을 쓰는 것이 나를 사랑하는 것인 줄 알았다. 돈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수 없음을 잘 알면서도 결정적인 순간에는 또 돈으로 위로받았다. 나를 위해 돈을 쓰는 것은 나를 가장 값싸게 사랑하는 방법이다. 나는 한 번도 나를 제대로 사랑한 적.. 열정 2015.09.17
제8강. 천간 합(天干合)과 충(沖) 제8강. 천간 합(天干合)과 충(沖) 천간 합(天干 合) 천간은 양의 크기와 음의 크기가 짝짓기 한 것이 천간 합이다. 천간 합은 가장 이상적인 합이라고 하며 정신적인 끌림을 뜻한다. 일명 간합이라고도 한다. 천간은 정신적인 상황을 의미하므로 천간 합은 서로 합을 탐하여 역량을 떨어뜨.. 간지론(기초) 2015.09.17
건너뛴 삶 건너뛴 삶 박노해 오늘 해결하지 못한 고민들은 시간과 함께 스스로 물러간다 쓸쓸한 미소이건 회한의 눈물이건 하지만 인생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건너뛴 본질적인 것들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담요에 싸서 버리고 떠나 핏덩이처럼 건너뛴 시간만큼 장성하여 돌아와 어느 날 내 앞에 .. 열정 2015.09.14
제6장. 지지(地支)의 이해 제6강. 지지(地支)의 이해 천간은 정신적 의미의 의지를 말하는 것이며, 지지는 현실적 의미인 환경을 뜻한다. 地支의 이해 子(水) 절기로는 大雪의 시기를 말한다. 밖으로는 음에 에워싸여져서 양기가 1점 태동한다. 쥐는 야행성으로, 남들이 모르게, 남들에게 잘 드러나지 않는 형태로 금.. 간지론(기초) 2015.09.13
제5강. 天干의 이해 제5강. 天干의 이해 결국 명리학은 존재의 축을 열 가지로 나누고 있는 셈이다 천간과 의미 오행이 분화하여 10개의 천간이 만들어 졌는데, 기운으로 살펴보자. 목(木)-갑(甲) : 초봄, 솟아오르는 운동을 뜻한다. 을(乙) : 늦봅, 펼치려는 운동을 뜻한다. 화(火)-병(丙) : 초여름, 발산하는 운동.. 간지론(기초) 2015.09.11
하늘 같은 사람 하늘 같은 사람 / 법정스님 '사람이 하늘처럼 맑아 보일 때가 있다. 그때 나는 그 사람에게서 하늘 냄새를 맡는다.' 사람한테서 하늘 냄새를 맡아 본 적이 있는가. 스스로 하늘 냄새를 지닌 사람만이 그런 냄새를 맡을 수 있을 것이다. 인간관계에서 권태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늘 함.. 열정 2015.09.10
제4장.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제4장.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천간과 지지는 변화, 운동하는 오행이다. 五行의 天干地支 분화 [자평진전]에 이르기를 오행이 있는데 무슨 까닭으로 또 10간, 12지지가 있는 것일까? 즉 木을 가지고 논하자면 甲, 乙은 木의 陰, 陽이 된다. 甲은 乙의 氣이다. 乙은 甲의 質이다. 하늘에서 생.. 간지론(기초) 2015.09.09
제3강.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제3강.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상생 상극은 관계를 만들고 사건을 일으키고 인연을 불러온다. 관계와 사건과 인연, 그 접속과 변화 이것이 인생이며 팔자다. 오행의 상생(相生) 자평진전에 사시(四時)의 운행(運行)은 오행의 상생(相生)에 의해 이루어진다. 오행(五行)의 상생(相生).. 간지론(기초) 2015.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