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기초)

제10강. 지지 충, 형(沖, 刑)

燕巖 2015. 9. 21. 10:10

 

10. 지지 충, (, )

 

 

 

합은 서로 합쳐져서 다른 것이 되는 관계를 말하고, 충은 서로 부딛혀서 변화를 이끄는 관계를 의미한다. ()이란 충()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작용력은 약하고 형벌과 수술 그리고 조정의 의미를 가진다. 합과 충은 천간은 천간끼리, 지지의 합과 충과 형은 지지끼리 이루어진다.

 

 

지지 충(地支 沖)

 

지지 충은 양()과 양이 만나서 충하고 음()과 음이 만나서 충을 하는데 한 공간에서 양립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하며 역마작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지 충은 각 지지에서부터 7번째가 충이 되는 방식으로 에서 7번째가 되는 가 서로 충돌하여 , 충이 되는 것처럼 , , , , 의 충은 서로 방위나 기운이 반대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 충과 , 충은 를 극하는 충이고 , 충과 , 충은 을 극하는 충인데 , 충과 , 충은 같은 오행인 끼리 충하는 것으로 벗, 친구, 무리를 뜻하는 붕충(朋沖)이라고 한다. 의 충인 , 충과 , 충은 그 속에 저장되어 있는 지장간(地藏干)의 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는데 , , , 의 특성인 고장지(庫藏支)의 역할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1, +2, +3, +4, +5, +6,

-1, -2, -3, -4, -5, -6,

 

1). 지지 충

 

 

子午-, 卯酉-, 寅申-,

巳亥-, 辰戌-, 丑未-,

 

子午.-겨울과 여름의 제왕지.

卯酉.-봄과 여름의 제왕지.

寅申.-여름과 겨울의 장생지.

巳亥.-가을과 봄의 장생지.

辰戌.-여름과 겨울의 고.-

丑未.-봄과 가을의 고.

 

-겨울의 중앙.

-가을의 끝.

-여름의 시작.

-목의 중앙.

-겨울의 끝.

-가을의 시작.

-여름의 중앙.

-봄의 끝.

-겨울의 시작

-가을의 중앙.

-여름의 끝.

-봄의 시작.

 

충은 가만히 있는 것을 움직이게 하고 모여 있던 것을 해산하거나 분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충은 공허하다는 뜻으로 파괴, 해산, 분리 등의 부정적인 작용도 하지만 시작, 충전(充電), 분발, 개척, 정치성, 투쟁심 등 또 다른 생산적 역할을 하기도 하므로 길흉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선입견을 가지고 일방적인 작용만을 생각해서는 안 된다.

 

충은 파괴나 해산 등의 불리한 작용도 하지만 정치성이나 충전작용도 있고 역마작용도 있다. 충이 될 때 지지가 품고 있는 지장간이 모두 튀어나오는 현상은 , , , 의 토()로 작용하는 글자일 때만 해당하고 나머지 글자들은 그렇게 해석하지 않는다.

 

충은 결과물이 없다. 대부분이 동일한 반대의 계절이 충이다. 봄과 가을, 여름과 겨울이 충 한다. 충을 하면은 깨어진다가 아니고 충은 역마 작용으로 쓴다. 한 곳에 있지 못하고 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이것도 간섭인자다. 상호 간에 활발하게 움직이게 만드는 것인데 지지는 충을 별로 안 좋아한다.

 

2). 지지 충의 작용

 

子午

사주에 子午 충이 있으면 사람의 심성은 정직하고 착하지만 소심한 면이 있고 모든 일에 신중하지 못하여 쉽게 선택을 하고 쉽게 번복하는 경우가 많다. 건강은 는 신장 계통을 뜻하고 는 심장 계통을 말하므로 충을 당하여 약해지는 ()가 문제가 되므로 정신이나 신경계통의 질병이 생길 수 있다. 사주명조 년, 월에 子午 충이 있으면 본인이나 형제 중에서 해외에 나가서 사는 경우가 많고 운()에서 사주에 있는 년, 월과 子午 충이 이루어지면 본인이나 자녀 중 한 명이 해외에 나가는 경우가 많다. 충을 판단할 때 단순하게 충이 있다는 하나만으로 단식 판단을 하는 것보다는 주변의 상황과 각 글자의 기운을 잘 살펴서 복합적인 판단을 해야 할 것이다.

 

卯酉

대인관계에서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 타인과의 충돌이 많고 이익을 위해서는 상대를 배려하지 않고 배신하는 경우가 많다. 남을 위해서 좋은 일을 하고서도 칭찬받지 못하는 경향이 많으며 자신이 사는 주거지 변동이 남달리 많다. 건강은 는 간 계통을 말하고 는 폐 계통을 말하므로 충을 당하여 약해지는 로 인하여 간, 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주명조에 일지(日支)와 시지(時支)卯酉 충이 있으면 말년에 가서 거주할 집이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寅申

사주명조에 寅申 충이 있으면 매사에 서두르는 경향이 많고 시작은 있으나 끝이 흐린 경우가 많다. 누가 시키지도 않은 일을 스스로 만들어서 하며 항상 일이 많고 분주한 것이 특징이다. 남보다 빨리 직업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본인이 장남이라 하여도 부모에 기업을 잊지 못하고 타향에서 자수성가하는 경우가 많다. ()에서 충이 되면 직장을 옮기거나 직업을 바꾸며 집을 이사하거나 이별수가 있게 된다. 역마 충이므로 여행을 가거나 이동 중에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있다. 은 간, 담 계통을 말하고 은 대장 계통을 말한다. 충을 당하여 약해지는 으로 인해 간, 담 질호라이 문제가 될 수 있다.

巳亥

사주에 巳亥 충이 있으면 소심한 성격이 많고 남의 일에 간섭이 많아 구설이나 논쟁에 휘말리는 일이 많다. 가만히 있으면 될 일을 괜히 일을 만들어서 걱정을 하거나 후회를 하는 경우가 많다. 대인관계에 신중하지 못하여 후회되는 상황을 연출하는 경우도 많다. 巳亥 충이 있는 경우에는 폭발이나 화재 또는 교통사고를 주의해야 한다. 는 심장이나 소장 계통을 말하고 는 신장이나 방광 계통을 하므로 충을 당해 약해지는 로 인해 심장, 혈압, 당뇨 등에 관한 질병이 많이 발생한다.

 

辰戌

사주에 晉戌 충이 있으면 남녀를 막론하고 대체로 과묵한 성격에 강직하고 과단성이 있다. 남에게 잘 베푸는 성격이나 정작 자신에게 닥친 어려움에는 방관하거나 속수부책인 경향이 있다. 때로는 무리하게 큰일을 도모하다 어려운 지경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성관계로 구설수에 오를 우려가 있고 남녀 모두 혼사가 쉽게 성립되지 않고 귀인의 도움을 받기 힘들어 일명 고독의 충이라고도 한다. 건강은 위장이나 비장 계통의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주택이나 부동산에 관련된 관재, 송사 등이 많이 일어날 수 있다.

 

丑未

사주에 丑未 충이 있으면 형제와 친척에게 많은 겻을 베풀어도 공덕이 적고 재산관계로 인한 다툼이나 손재수가 많이 발생한다. 형제와 친구 그리고 친척들과의 인간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많은 경우이므로 배우자 선택을 잘 해야만 중간에서 역할을 잘해줌으로 인하여 가정화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건강은 위장과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 유의해야 한다.

 

 

3). 지지 충의 특성

 

천간은 정신적인 경우를 뜻하므로 충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마치 말로 싸우는 경우와 같아서 영 향력이 크지 않다고 본다.

지지는 우리가 실제로 살아가는 환경을 뜻하므로 충이 발생하면 뿌리가 흔들리는 격으로 영향력 이 크게 작용한다.

천간에 충이 있는데 지지도 충하게 되면 천극지충(天剋地沖)이라 하여 그 영향력은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

 

()이란 충()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작용력은 약하고 형벌과 수술 그리고 조정의 의미를 가진다. 삼형(三刑)의 성립은 지지의 삼합과 각 계절을 주관하는 방 합이 서로 교체하며 대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寅 午 戌 삼합은 巳 午 未 남방 방 합을 만나면 왕 한 가 더욱 왕 해지므로 중화(中和)를 잃어버리고 를 형()하고 를 형()하게 된다. 申 子 辰 삼합은 寅 卯 辰 방 합을 만나면 하여 왕 한 이 더욱 왕 해지므로 을 형하고 를 형하며 을 형 하게 되는 것이다. 巳 酉 丑 삼합은 申 酉 戌 방 합을 만나 왕 한 이 더욱 왕 해지므로 을 형하고 를 형 하게 되고 亥 卯 未 삼합은 亥 子 丑 방 합을 만나 더욱 목기(木氣)가 왕 해지므로 를 형하고 를 형하고 을 형 하게 되는 것이다.

 

1). 형의 종류

 

寅巳申 삼형(三刑)

丑戌未 삼형(三刑)

子卯 상형(相刑)

辰辰, 午午, 酉酉, 亥亥 자형(自刑)

 

三合 申子辰. 寅午戌. 巳酉丑. 亥卯未.

方局 寅卯辰. 巳午未. 申酉戌. 亥子丑.

 

 

 

2). 형의 작용

 

寅 巳 申 - 삼형

寅 巳 申 삼형이 사주에 있는 사람은 타인을 억압하거나 업신여기려는 성형이 있다. 모든 일을 속전속결로 처리하려는 성질이 있어 급하게 서두르다가 후회를 하는 일이 자주 생긴다. 형벌, 구설, 사고, 구속 등이 있을 수가 있고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형제, 자매, 친척, 친구지간에 배신으로 반복하거나 시비가 벌어져서 송사나 관재로 이어지는 수가 있다. 사주에 삼형이 있으면 본인이 의료, 법무, 세무, 금융 등 사람의 목숨을 좌우하는 기관에 종사하거나 그렇지 못하면 본인이 형벌이나 수술로 인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다.

 

丑 戌 未 - 삼형

사주에 丑 戌 未 삼형이 있으면 서로 믿고 있다가 사소한 일로 인하여 다툼이 일어나 불신과 배신이 일어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명조에 丑 戌 未 삼형이 있고 사주구조가 좋으면 만인의 생사(生死) 결정관한을 휘두를 수 있는 권력을 쥘 수 있으며 공사(公私)를 엄정하게 분별할 줄 아는 뛰어난 인물이 된다.

 

子 卯 - 상형

子卯 상형은 를 형하므로 호형(呼兄)이라도고 한다. 뜻밖의 불청객이 나타나 주인 행세를 하는 경우처럼 염치나 수치를 모르는 비윤리적인면을 내포하고 있다. 이성관계에서 불륜, 무례, 간통 등으로 인한 구설, 시비, 형액 등이 따른다. 명조가 조화로우면 병원(산부인과, 비뇨기과)을 경영하기도 한다.

 

, 午午, 酉酉, 亥亥 - 자형

서로 다투는 모습을 한다.

 

三合 申子辰. 寅午戌. 巳酉丑. 亥卯未.

方局 寅卯辰. 巳午未. 申酉戌. 亥子丑.

 

, , , 가 자형(自刑)이 되는 까닭은 위의 배열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첫째 줄은 삼합을 배열하고 다음 줄은 방합을 배열하였는데 위의 배열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른 두 지지는 각기 형, 충이 되는데 , , , 는 형, 충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자해하는 행위와 같이 스스로 형을 하는 것이다. 사주에 자형이 있으면 신체에 장애나 자해 행위로 인하여 다치거나 불구가 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자형은 실제로 작용력이 크지 않다.

 

3). 형의 해석

 

사주에 형이 있고 명조가 준수하면 명예와 권력을 쥐고 위엄으로 만인을 다스릴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고 편중되면 형벌이나 사고에 시달리거나 재난을 당하게 된다. 형살 중에서 작용력이 가장 강한 형은 寅 巳 申이며 다음으로 丑 戌 未이고 그 다음이 子 卯이다. 자형은 작용력이 미미하다고 본다. 남녀 모두 일지(日支)에 형살이 있으면 배우자에게 관액이 따르거나 병고에 시달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단, 본인이나 배우자가 직업을 의료, 법무, 세무, 금융 같은 형살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면 화를 면할 수 있다.

 

대운이 삼형살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법조계가 많다. 형이 있다는 것은 의료, 법무, 세무, 금융, 이쪽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람의 생명을 죽이고 살리고 하는 권력계통에 근무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 세 가지는 직업으로 삼으면 좋다. 이 세 가지가 월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월지가 직업이다. 일지하고 형이 연결되어 있으면 부인이 그런 일을 해도 좋다,

 

운에서 볼 때는 관재구설, 사고, 소송, 재판, 수술, 교통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매사에 주의하여야 한다. 형살이 있는 사주는 성격이 냉정하고 판단력이 있는데 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법관, 검사, 변호사, 의사, 간호사, 약사, 주방장, 재단사, 이발사, 보험 조정 등에 종사한다.

 

, , 형이 사주명조에 있을 때는 청탁의 기운을 살피는데 사용하며 간섭인자로 통변할 수 있고 운()에서 오는 합, , 형은 변화의 조짐이나 모습을 살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천간 합은 작용력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오히려 충은 정신적 자극을 주어 긍정적으로 판단한다. 지지 합은 오행의 상생처럼 좋은 영향을 미치며 간섭인자로 해석하고 충은 나쁜 이미지보다는 역마작용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겠다. 형은 적성이나 직업적인 영향을 설명하는데 많이 사용이 되며 합은 좋고 충과 형은 나쁘다는 고정관념은 버리고 오로지 간섭인자로 판단하고 참고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오행의 상생상극의 논리는 천간과 지지에서 합, , 형의 논리로 바뀌었다는 사실을 명심하기 바란다. 파와 해는 작용력이 약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불편이 없을 것이다. 합이나 충은 운동성이 반대인 경우에 음양이 다르면 합이고 음양이 같으면 충이 되는 경우가 된다. 즉 음양에 따라서 합이나 충으로 갈라지는 것이고 좋고 나쁨이 아니라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또는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지의 상황만 설명을 하면 된다.

 

寅 巳 申을 무은지형(無恩之刑), 丑 戌 未를 지세지형(持世之刑)이라고 설명하는 책들이 있는가 하면 寅 巳 申을 지세지형, 丑 戌 未를 무은지형이라고 해석하는 책들도 있다. 또한 子 卯는 무례지형(無禮之刑)이라고 하나. 필자는 수많은 감명 결과 그러한 해석들이 별로 중요하지 않고 특별히 구분 지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여기에 기술하지 않았다. 다만 형살이 있는 사주의 특징을 설명하고 직업에 관련된 상담을 하면 좋다고 본다.

 

 

마무리

 

, , 은 사주명조에 있든 운에서 만나든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므로 그것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이는 모습을 형상화하여 그대로 이야기를 해주는 것이 바로 상담기법이다. 원래 사주에 가지고 있는 충, , 파는 어느 육친에 작용을 하는가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며 또한 년, , , 시 어느 자리에 있는지에 따라서도 해석이 달라진다. , , 형의 의미를 올바르게 알고 변화를 관찰하여 어떤 해석을 할 것인가를 충분히 반복하여 연습하여야 한다. , , , 파는 천간지지가 오행의 상생상극과는 달리 새로운 규칙에 의해 변화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사주팔자는 고정되어 있는 글자가 아니고 팔자 안에서의 합, , , 파가 있고 운에서 만나는 합, , , 파에 의해서 변화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간지론(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강. 육친(六親)  (0) 2015.09.25
제11강. 공망(空亡)  (0) 2015.09.23
제9강. 지지 합(地支 合)  (0) 2015.09.18
제8강. 천간 합(天干合)과 충(沖)  (0) 2015.09.17
제7강. 지장간(支藏干)  (0) 2015.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