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강. 공망(空亡)
공망(空亡)
천간과 지지가 서로 결합을 하면서 이루어지는 신살이 공망이다.
1). 공망의 의미
10천간이 12지지를 짝짓고 남은 지지 2개를 말한다. 공망에 해당되는 글자는 일간지를 기준으로 적용하며 오행은 있으나 육친 작용은 없다고 본다. 사주명조에 적용하여 자리에 해당하는 육친과 인연이 박하다고 판단하며 해당 지지의 천간도 공망이며 육친도 작용력을 잃는다. 대운은 적용하지 않고 세운은 적용한다.
2). 공망의 도표
3). 공망의 성립
공망은 10천간과 12지지로 짝을 지어 줄 때 지지는 남아 있으나 천간이 부족하여 두 개의 지지가 짝을 배정 받지 못하고 남게 될 때 공망이라 하는데 그 두 개의 지지는 공허하고 무력하다는 뜻을 가지게 된다.
남은 지지 중에서 앞에 있는 양지(陽支)를 공(空)이라 하고 뒤에 있는 음지(陰支)를 망(亡)이라 하는데 공(空)은 허(虛)요 부실(不實)이며 망(亡)은 무(無)요 부존재(不存在)라는 뜻으로 공(空)은 실(實)과 대비되고 망(亡)은 유(有)와 대비되는 말이다.
4). 공망의 특성
공망은 일주(日柱)를 기준으로 산출하여 정한다. 공망은 합이나 충으로 공망이 해소되는데 충은 공망을 80% 정도 해소시키고 합은 공망을 40% 정도 해소시키는 것으로 판단한다. 공망에서 양간일생(陽干日生)인 사람이 사주의 양지(陽支)가 공망이면 진공(眞空)으로 나타나고 반대로 음간일생(陰干日生)이 양지(陽支)가 공망이 되면 반공(半空)작용으로 본다.
대운 공망은 적용하지 않고 년운(年運)의 공망은 참작한다. 그리고 사주에 공망이 있는데 다시 행운(行運)에서 공망이 올 때는 공망이 풀리는 것과 같아 공망의 작용력이 약해진다. 지지가 공망이면 천간도 역시 공망으로 무력해진다.
5). 공망의 종류와 작용력
위치 공망
년(年)공망은 조상의 덕이 없거나 윗사람의 혜택을 얻기가 어렵고 조상이 물려준 터전을 지키기 어렵다고 보며 또 조상의 묘를 분실하거나 조상을 잘 섬기지 못해 주위로부터 욕을 먹거나 비난을 당하기 쉽다.
월(月)공망은 공부를 많이 하고 학력이 좋아도 사회에 진출하여 활용하기가 어렵고 매사에 이루어지는 일도 없이 동분서주하기 쉬운 명으로 해석하며 선천적으로 부모 등 모든 육친과 인연이 약하거나 혜택을 입기 어렵다고 본다. 부모형제의 도움이 없고 고향과 인연이 약해 떠나 살거나 진로나 직업이 순탄하지 않고 복잡다단하기 쉽다.
일(日)공망은 사용하지 않는다. 년을 기준으로 공망을 보는 것은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시(時)공망은 끈기나 고집은 있고 희망은 크지만 이루어지기 어렵고 진로가 막히는 장애물이 많이 생긴다. 또한 자녀가 부실하며 자녀에 근심이 많다. 자녀가 없거나 혹은 양자를 두기 쉬우며 자식이 있어도 무덕하며 노년에는 자식과 별거하여 고독하다.
위치공망은 근묘화실에 의한 분석 방법이다. 월 공망은 부모자리다. 자리 공망은 월 공망이기 때문에, 부모 형제하고 인연이 없다. 년, 월, 일, 시에 위치한 자리도 공망으로 취급하여 해석을 한다. 자리 공망 이라고 한다.
년 : 조상덕이 없고 인연이 박하다.
월 : 부모, 형제에 덕이 없고
일 : 배우자 인연 없다.
시 : 자식 덕이 없고 말년에는 외롭다
육친 공망
인성 : 학문, 모친 덕, 도덕심이 부족하고
비겁 : 형제인연, 경쟁심이 약하다.
식상 : 제조업불가. 자녀가 귀하다.
재성 : 금전, 부인 덕이 부족하다.
관성 : 명예, 남편 덕이 부족하다.
육친 공망 이다.
지지가 공망이면 공망에 해당하는 육친은 물론이고 천간도 공망이다.
비겁(比劫) 공망
형제간에 무덕하며 고독하고 협조정신이 부족하게 된다. 비겁이 공망된 명(命)은 고향보다는 객지나 외국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많다.
식신(食神) 공망
소극적인 성격이 되거나 직업이 자주 바뀌며 개척, 부날, 발전에 큰 뜻이 없게 된다. 반면에 기예나 가무에 재주가 있으며 달변으로서 교육, 의술, 예술, 점술이나 종교계에 소질과 인연이 있다.
상관(傷官) 공망
탐구심이 강하여 학문연구에 종사하거나 말수가 적고 인정이 없기는 하나 정신적인 차원은 높다. 여명(女命)은 상관이 공망되면 초산(初産)에 딸을 낳는 확률이 대단히 높다.
편재(偏財) 공망
재물에 대한 욕심이 많고 큰일을 계획하나 이루기 어렵고 허영심과 사기성이 많이 잠재되어 있다.
정재(正財) 공망
남명(男命)은 처와 인연이 약하며 처로 인한 흉액이 간혹 있게 되고 금전문제에 인색하고구두쇠가 많다.
편관(偏官) 공망
고나직이나 직장 그리고 자손의 인연이 약하다. 청렴강직한 척하나 명예욕이 강하고 또명예를 대단히 원하며 관을 이용할 줄 안다. 성격적으로는 자신이 최고인 줄 알거나 대접받기를 좋아하며 여명은 부부인연이 약하며 어떤 남자를 만나더라도 만족하기 힘들다.
인성(印星) 공망
지조가 강하여 타인의 도움이나 구원을 싫어하는 자립적인 재야선비 스타일이나 상하 간에 무례하기 쉽고 인덕과 부모덕이 없으며 학업을 끝까지 마치기가 어렵다. 즉 중퇴하거나 만학하는 경향이 있으며 무엇이든지 배우러고 하는 욕심과 노력하는 마음이 있는데 주거가 항상 불안하여 이사를 자주하는 경향이 있다.
절로(絶路) 공망
절로 공망의 뜻은 길이 끊어진 상태를 말하며 장애물이 많고 좌절을 많이 겪는다는 것인데 앞으로가고자 하는 길에 큰 강이 가로막혀 있거나 물이 범람하여 전진하기 힘들거나 건널 수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시간(時干)에 壬癸가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무조건 시간(時干)에 壬, 癸(水)가 있다고 나쁘다고 해서는 안 되고 나이가 들면 조용한 곳에 집을 짓고 은둔생활을 계획하는 사람들도 많다.
時의 간지에 壬, 癸와 지지 亥, 子, 丑 과 같이 水가 있는 것이다. 문 밖에 불이 꺼져 있는 상황이나 대문 앞에 강물이 막혀 고립되어 있는 형국으로 보아 일종의 공망으로 본다. 나이가 들면“한적한 곳에 별장, 전원주택을 것고 살고자 하는 생각“ 한다는 것이다. 전원생활이나, 별장생활을 꿈꾸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제로 공망은 시 천간에 壬이 있거나, 癸가 있거나, 둘 다 있는 것이 아니라. 시지에 子, 亥, 丑이 있으면 제로 공망 이라고 한다. 겨울이다. 겨울이고, 물이고, 壬癸 亥子丑이 있으면 일 밖의 시가 장외다. 집 바로 바깥에 물이 있다 이 말이다. 그러니까 나가지를 못한다. 그리고 어둡다. 밤, 캄캄해서 어두워서 바깥에 못 나간다. 제로 공망이라는 말은 나갈 수가 없고 그래서 쉰다. 바깥이 캄캄 하니까. 특징이 뭐냐 하면 나이 들어서 귀촌을 하거나 한적한 곳에 회향을 기대하고 있다. 나이 들어서 조용한 곳에 가서 별장을 지어서 조용히 살고 싶다. 이런 사람들은 시에 壬癸 亥子丑이라는 글자가 있다. 제로 공망이라고 부른다.
3위 공망(사주에 3자가 공망일 때)
사주의 지지 년, 월, 시 등 3개의 지지가 공망 이면 오히려 대귀대인(大貴大人)의 명(命)이라 해석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보면 좋은 것도 없고 나쁜 것도 없는 무해하다는 정도로 판단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다.
하나나 둘일 때보다는 나쁘지 않지만 대길하지는 않는다. 변화 없는 조직 사회나 집안일을 할 때는 무사태평하다. 발전은 없지만 큰 해도 입지 않는다는 뜻이다.
공망은 일간지 기준으로 잡기 때문에 일주 공망은 없다. 그래서 쓰리 공망이라고 한다. 일간지 빼고 나머지 년월시가 다 공망이 된다. 그런 사람 사주보기는 진짜 쉽다. 일지만 보면 된다. 스리공망은 일간을 위주로 공망을 봐야한다. 포 공망 하면 뭣하고 살아야 하느냐. 스리공망 맞으면 마누라 하고 살아야 한다. 쓰리공망이다.
6). 충과 합에 의한 작용력 변화
충은 공망을 80%정도해소 시킨다.
육합, 삼합은 40%정도 해소시키고
방합은 작용력이 없다.
마무리
천간과 지지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대목에서 12운성이 나오는 것은 천간은 생각이고 지지는 현실이라는 관점에서 서로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 것인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천간과 지지는 전혀 다른 영역에서 각자의 역할을 하지만 때로는 지지가 천간의 뿌리 역할을 해주기도 하고 또한 지지의 환경이 천간에 드러나게 해주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정리를 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그런 정리를 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이유 중에 하나가 오행개념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우선 기억해야 할 것은 천간과 지지는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직 천간의 기운은 어떤 지지를 만나느냐에 따라 12운성으로 그 기운을 가늠하는 방법이 존재한다고 하겠다. 또한 지지의 기운이 천간에 드러나 있다면 그것은 지지에만 있는 것보다 훨씬 강한 기운을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는 것이다. 천간지지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지지에 공망 이면 천간까지 다 공망이라 사용할 수가 없다. 만약 오행으로 봤을 때 목화토금수에서 없다고 볼 것인가 있다고 볼 것인가. 오행 자체가 없어야 되느냐 그건 아니다. 육친은 공망이 되고 자리도 공망이 되지만 오행은 그대로 있다. 기운은 있다.
만약 자월에 태어난 것을 공망이라고 해서 안 태어났다고 할 수는 없다. 계절인데 겨울에 태어난 게 맞다. 오행으로 이것을 육친으로 작용되는 것을 나누었다. 오행은 그대로 인정하고 원국 사주에서 원래 공망이다. 년월에 자축으로 다 공망 인데 자리 공망이라고 한다. 그러면 자리 공망이 들어오면 육친 공망도 같이 인정을 합니까? 자리공망은 천간은 필요가 없고 육친 공망에 걸린다. 원국의 공망을 해석할 때 자리로 먼저 해석을 하고 육친은 다 공망이다,
사주에 공망이 없고 운에서 공망을 만날 수 있다. 대운에서는 공망이 적용이 안 된다. 자축인묘 나가는데 계절이 없어질 수는 없다. 오행도 공망이 없다. 대운은 계절이기 때문에 오행이나 계절은 공망이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계절이고 오행이기 때문이다.
세운에서 공망 작용력이 많다. 공망 운에 걸리면 12년 마다 공망 운이 온다. 공망 운에 걸리면 경쟁에서 못 이기고, 잘 속고, 사기 당하거나, 경쟁에서 진다. 시험, 재판 이런데서 다 진다. 공망 운에 죽기도 한다. 공망 맞은 육친을 없는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고 한 단계 낮게 사용을 한다.
자월에 공망이 되어도 오행은 공망 되지 않는다. 계절은 살아있다. 육친 공망과 자리 공망만 살아있다는 말과 똑 같다. 오행은 살아 있다 자월이 공망이면 겨울 생은 맞다.
'간지론(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강. 육친(六親) (0) | 2015.09.25 |
---|---|
제10강. 지지 충, 형(沖, 刑) (0) | 2015.09.21 |
제9강. 지지 합(地支 合) (0) | 2015.09.18 |
제8강. 천간 합(天干合)과 충(沖) (0) | 2015.09.17 |
제7강. 지장간(支藏干) (0) | 201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