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기초)

제9강. 지지 합(地支 合)

燕巖 2015. 9. 18. 23:17

9. 지지 합(地支 合)

 

 

 

 

지지육합(六合)

 

지지 육합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합으로 서로 돕는 역할을 한다. 긍정적 의미의 합으로 지혜, 생산, 총명의 의미를 가진다. 지지 육합은 12지지가 서로 합하여 6개의 합이 된다는 뜻에서 6합이며 긍정적 의미의 합으로 지혜, 생산, 총명의 의미를 가진다. 지지의 육합은 양기와 음기가 합하여 9성수를 채우는 합이다.

 

양의 기운 +1, +2, +3, +4, +5, +6,

음의 기운  -1, -2, -3, -4, -5, -6,

 

1). 지지육합(六合)

 

子 丑 () ,

寅 亥 () ,

卯 戌 () ,

辰 酉 () ,

巳 申 () ,

午 未 () ,

 

 

(1), (2), (3), (4), (5), (6), 그다음 (1), (2), (3), (4), (5), (6), 육음이다. 은 미약한 양기가 가까이서 3으로 합한 것이고, 는 미약한 음기가 가까이서 3으로 합한 것이다. 나머지 글자들은 합하여 9가 되는 숫자의 합으로 보면 된다.

 

2). 지지육합의 해석

 

子 丑 ()

미약한 양기가 가까이서 서로 합하는 모습으로 비밀스러운 관계나 가까운 관계를 뜻한다. , 丑月에는 모든 생명체의 발육이 부진하여 움츠러들고 씨앗()의 형태로 남아 있을 때이며 , 丑時에는 활동이 거의 중단된 취침 시간인 것을 알 수 있다. 육합은 합의 결과물이 무엇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오행에서 상생의 의미처럼 서로 관여하고 돕는 개념으로 정리를 하는 것이 좋겠다.

 

寅 亥 ()

, 합은 12운성으로 볼 때에 의 장생지(長生地)에 해당하는 () 합한 것으로 해()을 장생 또는 양육 시키는 형태로 (合力)이 매우 강하다. 이처럼 , 합은 생합(生合)으로 육합 중에서 합의 힘과 합화된 오행의 세력이 가장 강하다.

 

卯 戌 ()

12운성으로 볼 때 화의 묘지(墓地)인 술()과 합하여 화()가 되었으나 합화된 화()의 작용력은 미약하다. 재주나 예술성이 탁월하고 신분이나 나이 차이가 많은 관계를 뜻한다. 여기서 화()의 작용은 물을 끓이거나 나무를 태우는 불이 아니라 뜨거운 열기(熱氣) 정도로 판단한다.

 

辰 酉 ()

봄과 가을의 합으로 강압적인 관계를 뜻한다. ()이 유()를 생조(生助)하여 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 합 역시 생합으로 합의 영향력과 합화된 오행인 금()의 작용이 강하게 나타난다.

 

巳 申 ()

역마와 망신의 합으로 오래가면 서로에게 망신을 가져오는 관계를 뜻한다.

 

午 未 ()

미약한 음기들이 서로 가까이서 합을 하는 모습으로 공적, 사회적인 관계를 뜻한다. 남쪽을 나타내는 오(),()합은 주변의 세력에 의하여 변화 가능성이 높고 화()로서의 작용력이 크지 않다고 이해를 하면 된다.

 

1음의 지지에 이르러 음이 시작 되는데 밖은 5양으로 더운 기운에 쌓여 있다. 뜨거운 기운인 가 와서 를 끊임없이 견인하는 작용을 한다. 1음과 2음이 합세하여 음기를 축적하여 나아가며 우세한 양기를 밀어내고 나아간다. 이때 화기의 양기의 발산이 되는 에 입고가 된다. 亥卯未 유월이 되면 끝없이 기승을 부리는 양기는 나뭇가지가 확 벌어져서 더 이상은 성장하지 못하는 것이다.

 

 

 

지지 삼합(三合)

 

삼합은 만물이 탄생하여 장생하고, 사라지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운동성의 변화를 의미하며 오행의 윤회과정을 보여주는 작용이라고 본다. 보다 정확한 과정은 12운성을 통해서 나타나지만 간략하게 핵심적인 설명은 삼합으로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

 

천간 합과 지지육합이 음양의 합이라고 한다면 지지삼합은 12지지 중에서 음양의 구분 없이 3개의 지지가 합하여 강력한 기로써 동일한 세력을 형성한 것으로 사회적인 합을 의미하며 같은 생각을 가진 친목단체로 시간이 있으면 자주 모이는 모임의 성격을 가진다. 천간 합이나 육합에 비해 강력한 힘을 갖는다. 삼합은 지지가 각자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독자성을 갖지만 일단 삼합을 이루면 각 지지의 개성은 삼합으로 동화(同化)하거나 귀속된다.

 

삼합의 형태에 따라서 작용력도 달라지고 변화가 많은데 삼합, 준삼합, 반합, 가합으로 나누어진다. 삼합을 이루는 각 지지는 순서대로 3칸을 전진하여 4번째 지지를 만나게 되는데 예를 들어 12운성으로 볼 때 수()의 장생지인 신()에서 , , 3지지를 전진한 후 12운성으로 볼 때 수()의 왕지(旺地)인 자()를 만나고 다시 자()에서 , , 3자로 전진한 후 12운성으로 의 묘지(墓地)인 진()과 만나 , , 삼합을 이루는데 그 중심을 이루는 의 오행 속성에 따라 수국(水局)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4개의 삼합이 이루어지는데 앞의 수국(水局)을 시작으로 , , 목국(木局), , 화국(火局), , , 금국(金局)으로 이루어진다. 한마디로 말해서 삼합은 12운성으로 장생과 제왕 그리고 입묘의 합이라고 보면 된다. 삼합이 정확히 완성 되려면 3개의 지지가 모두 있어야 되는데 이러한 합을 일명 진합(眞合)이라고 한다.

 

, , -三合- 수국(水局)

, , -三合- 목국(木局)

, , -三合- 화국(火局)

, , -三合- 금국(金局)

 

 

 

1). 삼합의 종류

 

, , (水局)

申 子 辰이 합을 하면 수국(水局)을 이루는데 12운성으로 볼 때 신()은 수()가 지상에 모습을 드러내는 장생지이고 자()가 제일 힘이 강한 제왕지에 해당하며 가 목적을 마치고 모습을 감추는 묘지에 해당된다. 이렇게 12운성을 통해서 보듯이 윤회하는 모습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장생과 재왕 그리고 묘지를 모아서 강력한 국을 이루는 삼합을 만들어 낸 것이다.

 

亥 卯 未 (木局)

亥 卯 未가 모이면 삼합이 되어 목국(木局)을 이루는데 12운성으로 에 장생을 하고 에 제왕이 되어 에 입묘를 하게 된다. 이렇게 국을 이룬 삼합이 사주에 있으면 은 상승 하는 기()가 있어 하늘을 향해 곧게 뻗는 성질이 있고, 남에게 고개를 숙이거나 지는 것을 싫어하며 한번 결정한 일은 좀처럼 뒤집지 않으려는 고집이 있어 곡직(曲直)이라고도 한다. 성실하고 창조적이며 인정이 많고 적극적이나 우월감과 자존심이 너무 강한 것이 단점일 수도 있다.

 

寅 午 戌 (火局)

寅 午 戌은 삼합이 되어 화국(火局)을 이루는데 이것을 하루의 시간을 통하여 설명을 해보겠다. 하루의 시간 중에서 를 상징하는 태양이 아직 떠오르지는 않았지만 어둠이 걷히고 날이 밝아 오는 시간은 시 새벽(3-5) 무렵이고 태양이 가장 놓고 뜨거운 시간이 시 낮(11-1) 무렵이며 시 저녁(7-9)이 되면 해는 지고 서서히 어둠이 깔리는 시간이 된다.

 

巳 酉 丑 (金局)

巳 酉 丑이 삼합을 이루면 금국(金局)이 되는데 금국은 단단하고 강하며 겉보기에는 냉정하고 차가우나 속으로는 여린 면이 있다. 정의를 위해서는 죽음을 불사하며 과감하고 신속함이 있어 군인이나 정찰 계통의 행동력이 필요한 곳에 적당한 기질이라고 볼 수 있다. 대인관계에서 맺고 끊는 것이 너무 확실해 한편으로는 냉혹함이 있으며 좀처럼 자기의 속마음을 노출시키지 않는 점에서 속마음을 알 수 없는 베일에 가려진 사람이 되어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2). 준 삼합(準三合)

 

삼합은 오행의 속성상 2개의 지지만 있는 경우에도 합으로 간주하는데 그 종류에는 준 삼합(準三合)과 반합(半合) 또는 가합(假合)이 있다. 반합도 운에서 만나면 글자의 성질을 변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 : 寅 午 戌 (삼합)

(1) 이 없고 寅 午만 있는 경우(준삼합)

(2) 이 없고 午 戌만 있는 경우(반합)

(3) 가 없고 寅 戌만 있는 경우(가합) 이 된다.

 

작용력이 강한 순서로는 준 삼합이 가장 강하고 다음으로 반합이 강하며 마지막 가합이 가장 약하다고 하겠다. 그 이유는 지지삼합이 , , , 4(四旺)지지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 까닭이다.

 

 

 

방합(方合)

 

방합(方合)이란 방위(方位)를 중심으로 하는 지지의 합이고 계절의 합으로 춘하추동 사계절의 작용력도 함께 사용한다. 삼합과 마찬가지로 3개의 지지가 모여서 합을 이루는데 삼합과 다른 점이 있다면 삼합은 지지의 특성 중에서 필요한 것끼리 골라서 짝을 이룬 것이라면 방합은 가까이 있는 형제의 합으로 어려울 때 강하게 모이는 힘이 있고 사주명조의 오행 강약을 구분할 때 적용한다.

 

방합은 계절이 같은 3개의 지지가 차례대로 이루어져 있는데 예를 들면 봄에 해당하는 , , 이 연이어 있으면 방합이라고 하며 의 세력이 강해지고 동방(東方)을 나타내며 봄철의 기운이 매우 강함을 의미한다. (, , )(, , )(, , )(, , )4개의 방국이 이루어지는데 유의할 점은 방합은 합을 구성하는 3개의 지지 중에서 1개의 지지라도 사주의 월지에 자리하고 있어야 합으로 인정 한다는 것이다.

 

월지를 제외한 년지나 일지, 시지에 방합이 되는 3자가 모두 있더라도 이는 방합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삼합에서와 마찬가지로 반합 등과 같이 2개의 지지가 합을 이루는 요건과 작용력은 삼합과 동일하게 해석하면 된다. 삼합과 방합의 작용력을 비교하면 각 지지끼리의 결속하려는 힘은 삼합이 강하고 오행의 세력으로 본다면 방합이 더 강하다고 본다. 4개의 방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지지 방합)

 

, , - - 東方 - 木局-

, , - - 南方 - 火局-여름

, , - - 西方 - 金局-가을

, , - - 北方 - 水局-겨울

 

 

마무리

 

천간 합은 서로의 역량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므로 합이 반갑지 않고 지지 합은 서로 돕는 작용을 하므로 합을 반긴다. 삼합은 주로 운동성이 같은 합으로 사회적 합이라 하여 응용이 많이 되니 특별히 암기를 해야 하며 방합은 오행의 합으로 친척끼리 모이는 성질을 가지므로 오행의 강약을 구분할 때 많이 사용한다.

 

합의 결과물로 나온 오행은 중요하지 않으며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차원을 벗어나서 오행으로는 상극관계라 할지라도 음양이 같으면 충을 하고 음양이 다르면 합을 하는 것이 천간과 지지의 관계이다. 천간과 지지에서는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를 벗어나서 새로운 규칙이 적용된다는 사실에 집중을 해야 한다. 사주팔자를 감명할 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삼합이며 삼합의 구성과 의미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

 

 

 

 

 

 

 

'간지론(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강. 공망(空亡)  (0) 2015.09.23
제10강. 지지 충, 형(沖, 刑)  (0) 2015.09.21
제8강. 천간 합(天干合)과 충(沖)  (0) 2015.09.17
제7강. 지장간(支藏干)  (0) 2015.09.15
제6장. 지지(地支)의 이해  (0) 2015.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