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강. 천간 합(天干合)과 충(沖)
천간 합(天干 合)
천간은 양의 크기와 음의 크기가 짝짓기 한 것이 천간 합이다. 천간 합은 가장 이상적인 합이라고 하며 정신적인 끌림을 뜻한다. 일명 간합이라고도 한다. 천간은 정신적인 상황을 의미하므로 천간 합은 서로 합을 탐하여 역량을 떨어뜨리므로 천간은 합을 꺼린다. 10천간 중에서 다섯 개의 陽干은 각각 다섯 게단 아래의 陰干과 合을 하는데, 甲, 丙, 戊, 庚, 壬 다섯 개의 양간과 여섯 번째 음간을, 정, 기, 신, 계이 이루어 내는 합으로 오행의 법칙에서 본다면 상극관계만 마치 서로 사랑하는 남녀가 부부가 되어 서로 화합하고 일체(一體)가 되는 이치와 같다. 천간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개념을 벗어나서 합과 충이라는 새로운 법칙이 존재 한다.
1. 천간 합의 종류
양의 기운
甲+1, 乙+2, 丙+3, 丁+4, 戊+5
음의 기운
己-1, 庚-2, 辛-3, 壬-4, 癸-5
천간 합은 10천간 중에서 5개의 양간이 각각 여섯 번째 음간과 짝을 이루어 5개의 합을 이루는데 양과 음의 비례 합으로 펼치려는 양의 기운과 응집하려는 음의 기운이 같은 힘에 비율로 합을 이룬다. 갑은 양의 시작 무는 양의 끝단이며 기는 음의 시작이며 계는 음의 끝단이다.
천간 합(天干 合)
甲己(合)土
乙庚(合)金
丙辛(合)水
丁壬(合)木
戊癸(合)火
2). 천간 합의 특성
천간 합은 저마다 본래의 뜻이 있으나 자기 고유의 본분을 잊어버리고 정신적인 이끌림에 끌려가거나 마음을 빼앗겨서 묶이게 되는 결과를 낳으니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 합한다 하여도 반드시 다른 오행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3). 천간 합의 해석
천간 합을 하는 두 천간 모두 작용력이나 역할이 정지가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과 천간과 지지에서는 오행으로서의 상생이나 상극 개념이 아닌 합과 충에 의한 새로운 법칙이 적용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그 작용력에 집중할 것을 바란다. 마치 오행을 천간지지의 상위개념으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오행의 개념에 생각이 집착하지 않고 천간과 지지에 대한 분명한 구분이 가능하다면 천간 합에 대한 해석도 분명히 달라야 한다 천간 합은 역할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甲 己 (合) 土
하늘에서 甲은 천둥과 번개이고 己는 먹구름이다. 먹구름에 번개치고 비가 내리는 자연의 모습을 문자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乙 庚 (合) 金
하늘에서 乙은 바람이고 날아가는 새이며 庚은 달이고 가을이다. 달밤에 가을바람이 불어 오곡백과가 익어가는 자연의 모습을 문자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丙 辛 (合) 水
하늘에서 丙은 태양이고 辛은 서리다. 가을 서리에 태양이 비추니 이슬이 맺히는 자연의 모습을 문자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丁 壬 (合) 木
하늘에서 丁은 별빛이고 壬은 이슬이다. 별빛에 이슬이 초목에 맺혀 있는 자연의 모습을 문자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戊 癸 (合) 火
하늘에서 戊는 석양이나 저녁노을이고 계는 이슬비다. 저녁노을이 지는 석양에 이슬비가 내리고 무지개가 떠 있는 자연의 모습을 문자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천 간 충(天干沖)
천간 충이란 방위나 운동성이 반대되는 천간끼리 충돌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동서와 남북이 木과 金, 火와 水로 서로 대립하는 오행끼리 부딪쳐서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을 말한다.
기존의 천간 충
천간의 충은 천간을 배열하였을 때 일곱 번째 만나는 천간끼리 충이 된다고 하여 이를 두고 칠충(七沖) 또는 칠살(七殺)이라고도 한다.
甲庚沖 乙辛沖
丙壬沖 丁癸沖
戊甲沖 己乙沖
庚丙沖 辛丁沖
壬戊沖 癸己沖
천간 충 중에서 丙壬, 戊甲, 庚丙은 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천간 충을 살펴보면 양간 끼리나 음간끼리 충(沖)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비록 반대 기운이지만 음양이 다르면 짝이 된다는 것이다.
새로운 천간 충
천간 충은 봄과 가을, 여름과 겨울이 서로 충 한다고 보면 된다. 천간의 충은 나쁜 것이 아니라 반대의 계절, 반대의 기운이다.
동방(甲, 乙) <---> 서방(庚, 辛) 甲庚(충), 乙辛(충)
남방(丙, 丁) <---> 북방(壬, 癸) 丙壬(충), 丁癸(충)
(甲-초봄 -충-庚초가울) (乙-늦봄-충-辛-늦가을)
(丙-초여름-충-壬초겨울) (丁늦여름-충-癸늦겨울
戊와 己는 양과 음 사이에서 중계 작용을 하는 관계로 충이 있을 수 없으며 또한 甲과 庚이 충을 하고 다시 戊와 충이 된다는 이중적인 충은 있을 수 없다고 본다.
방위적인 측면에서도 중앙에 있는 土가 충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천간 충은 지지 충에 비해 크게 생활이나 환경에 변화를 주는 것은 아니지만 작용력이 빠르고 심리적 갈등이나 대인관계의 변화 또는 정신적인 이상의 변화를 일으킨다. 천간 충은 파괴나 충돌의 개념보다는 서로에게 자극을 주어 활발하게 움직이는 작용을 만드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므로 천간은 충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충은 대체적으로 간섭인자 중에서 역마작용으로 해석을 합니다. 직업이나 장사를 하는데 한 자리에 있지 않고 옳겨 다니거나 이동을 하는 직종이나 업종을 말하는 것이다.
마무리
오행에서는 상생상극이 있고 천간에서는 합충이라는 것이 있다. 천간 충은 서로에게 자극을 주어 움직이게 하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천간 합은 조용하게 한다.
오행에는 상생상극이 있고, 10천간에는 합과 충 논리가 있다.
충 합은 천간과 지지는 변화, 운동하는 오행이다. 충합은 그 과정에서 생겨나는 변화의 국면들이다. 모든 변화는 다이나믹하다. 그것이 사회적 조건과 만나 길흉이라는 통속적 판단을 낳긴 하지만 그 자체로는 시비선악이 있을 수 없다.
'간지론(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0강. 지지 충, 형(沖, 刑) (0) | 2015.09.21 |
---|---|
제9강. 지지 합(地支 合) (0) | 2015.09.18 |
제7강. 지장간(支藏干) (0) | 2015.09.15 |
제6장. 지지(地支)의 이해 (0) | 2015.09.13 |
제5강. 天干의 이해 (0) | 2015.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