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중급)

제10강. 격국용신론(格局用神論)의 역사

燕巖 2015. 10. 14. 23:35

 

10. 격국용신론(格局用神論)의 역사

 

 

1) 감명법의 변화

 

사주명리학의 감명법은 초창기 신살론을 지나서 현재는 가장 핵심적인 감명법은 격국(格局)과 용신(用神)이다.

 

요즘 들어서 일부 학자들은 격용론이 오류가 많고 잘 맞지 않는다고 하여 격국 용신 무용론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사주명리학에서 격국과 용신을 무시하고는 운명을 깊이 있게 파악하기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이 격국용신론을 채택해야 했던 시절을 지나서 이제 우리 앞에 간지론 이라는 감명법이 나타났다. 물론 필자는 격용론을 전혀 배제하지는 않고 10정격은 채택을 하고 있다. 그래서 입장에서는 격용론에 대한 공부를 올바르게 해 보도록 하겠다.

 

 

2) 격국용신론의 변천사

 

격국용신론은 시대를 거치면서 변화해 왔으며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완성이 되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서자평

과거 년주(年柱) 위주의 사주학에서 서자평이 일간(日干) 위주의 사주학을 창안하였으며

낙록자삼명소식부주, 옥조신응진경주, 명통부 등을 저술,

격국론을 주장하면서 격국에 따른 사주풀이를 소개하였다.

 

(2) 연해자평

사주학의 고전으로 가장 오랜 고서로는 연해자평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연해자평에서는 서자평의 이론을 대부분 그대로 수용하면서

다양한 사주의 예를 넣고 격국론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켰다.

연해자평에서 종격을 처음으로 주장했는데

연해자평이 사주학의 모든 격국론과 용신론의 판단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3) 명리정종

명리정종은 연해자평과 격국의 명칭은 대부분 일치하지만

용신론에서는 독창적인 동정설, 개두설, 병약설 등 새로운 학설을 주장했다.

 

(4) 삼명통회

삼명통회는 그 이전의 모든 사주학의 이론을 집대성하여

사주를 판단하는 각종 이론과 비결을 모두 소개한 종합편이라고 하겠다.

그러다보니 사주학이 아주 방대한 체계가 너무나 복잡하고 어려운 면도 발생하게 되었다.

 

(5) 명리약언

명리약언은 명리에 대한 이론을 간단히 정리한 책으로서

격국용신론을 간략하게 요약정리하면서 잡격을 배격하고 억부용신 한 가지만 강조하였다.

10정격과 종격, 화기격 만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6) 자평진전

자평진전에서는 연해자평의 육신론에 입각해서 순용과 역용의 격국용신론을 설정하였다.

4길신(四吉神)4흉신(四凶神)의 격을 구별하고

그에 따라 격국과 용신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7) 적천수

적천수에서는 명리약언의 주장을 받아들여 잡격을 배격하고 억부용신을 중시하였다.

가장 큰 특징은 4종격인 종강격, 종왕격, 종기격, 종세격을 주장하여

격국용신론을 한층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8) 서락오

적천수 이후에 서락오가 자평수언에서 용신을 정하는 다섯 가지 원칙

즉 억부(抑扶), 조후(調候), 병약(病弱), 통관(通關), 전왕(專旺)의 원칙을 정립했다.

 

이처럼 오랜 역사를 지닌 격국용신론은 현재도 계속 유지,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주명리학계에서는 위의 여러 격국용신론들이 통일되어 있지 못하고 각자 다 자기가 공부한데로 이론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자신의 실제경험을 덧붙여 활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지금까지는 사주학에 훌륭한 이론의 기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학설이 없어서 사주를 분석하는 데는 격국과 용신의 틀을 벗어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제 간지론 이라는 새로운 학설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바 일정한 기간을 거쳐서 검증을 하고 발전을 시켜서 현대사회에 맞는 새로운 학설이 만들어 지기를 기대해 본다.

 

10정격 이외에 여러 가지 특수격이나 외격 등이 만들어 졌다는 것은 그만큼 10정격에 맞지 않는 사주들이 많았다는 이야기로 볼 수가 있다. 그런 파격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이 특수격이나, 외격, 화격이 아니고 간지론 이라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그래서 10정격 이외의 격국은 여기서 설명하지 않고 배제하도록 하겠다.

 

 

3) 격국론 정리

 

격국은 지금까지 전해온 종류가 수 없이 많았는데 세월에 따라서 여러 번의 변화과정을 반복하였다. 10정격 이외에 수없이 많은 격국들은 많은 외격과 특수격, 종격, 화격 등은 일명 파격을 해석 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관계로 설명은 하지 않겠으나

 

(1) 내격

여러 명칭을 통일시켜 10정격(건록격, 양인격, 식신격, 상관격, 편재격, 정재격, 편관격, 정관격, 편인격, 전인격)으로 부른다.

 

(2) 종격

종살격, 종재격, 종아격, 종왕격, 종강격 등의 외격이 있다.

 

(3) 화기격

상당히 난해한 이론이기는 하나 실제 임상에서 극히 드물게

화기격, 또는 가화격으로 성립이 되는 경우가 있다.

 

(4) 일기격(一氣格)

곡직인수격, 염상격, 가색격, 종혁격, 윤하격은 종왕격과 같은 작용이다.

사주 전체의 오행 상으로 나타나는 고유의 성정 이해를 위해 성립과정을 설명하기는 하나

사주를 분석하는 데에는 별도로 취급하지는 않는다.

 

(5) 특수격

암충격, 암합격, 일귀격, 복덕수기격, 형합격, 일덕격, 괴강격, 금신격, 시묘격, 비천록마격, 시상일위귀격, 도충격, 육을서귀격, 합록격, 자요사격, 축요사격, 임기용배격, 정란차격, 귀록격, 육음조양격, 공록격, 육임추간격, 육갑추건격, 구진듣위격, 현무당권격, 일덕수귀격, 복덕격, 오행구족격, 등을 포함한 기타 특수격 및 잡격은 모두 오행의 논리상 논할 가치를 느끼지 못하나 활용하지는 않더라도 알아 둘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4) 용신론 정리

 

용신은 격국의 변천에 따라서 함께 변하여 왔고 용신은 사주의 조건에 맞춰서 설정해야 한다. 아래에 용신의 종류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1) 억부용신(抑扶用神)

(2) 조후용신(調候用神)

(3) 병약용신(病藥用神)

(4) 통관용신(通關用神)

(5) 전왕용신(專旺用神)

 

 

마무리

 

격국용신론은 한번 스쳐 지나가면 된다. 격과 국에 너무 의존하면 감명이 안 된다. 40년 공부를 해도 간지론을 1년 공부한 사람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바로 현실이며 문제점이다. 격국과 용신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격국과 용신 역시 사주 감명에서 미미한 한 부분일 뿐이다. 다른 많은 관법이 존재한다. 어느 하나를 고집할 것이 아니라 다각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간지론(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강. 격국론(格局論)   (0) 2015.10.17
제11강. 용신론(用神論  (0) 2015.10.14
제9강. 12운성 이해  (0) 2015.10.13
제8강. 지장간(支藏干) 이해   (0) 2015.10.11
제7강. 육친론(六親論)  (0) 201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