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사주분석의 연구
ㄱ. 사주의 기본인 조후관계를 관찰합니다.
지나치게 덥고 습하거나 지나치게 차고 건조한 사주는 우선 조후를 조율하지 않으면 수명에 문제가 됩니다.
ㄴ. [ 子 午 卯 酉], [寅 申 巳 亥], [辰 戌 丑 未]를 별도로 묶어서 관찰해 봅니다.
제왕 지지인 자, 오, 묘, 유를 관찰하고
인, 신, 사, 해를 장생과 역마의 작용으로 관찰하고
진 술 축 미를 묶어서 입묘작용과 각 글자들과의 관계를 살핍니다.
ㄷ. 방 합으로 구분하여 강력한 세력의 글자를 관찰해 봅니다.
월지를 기준으로 방 합으로 분류하여 오행의 강약을 관찰합니다.
ㄹ. 삼합으로 구분하여 삼합의 목적물을 봅니다.
ㅁ. 합과 충을 관찰하여 청탁을 분리하여 봅니다.
ㄱ. 육친의 많고 적음을 관찰합니다.
ㄴ. 근묘화실을 이용하여 년, 월, 일, 시를 봅니다.
ㄷ. 사주에 없는 육친을 관찰하여 부족한 논리를 생각해 봅니다.
ㄹ. 부족한 것으로 인하여 생기는 관심사를 생각해 봅니다.
3) 격국 용신을 관찰
ㄱ. 월지에 육친을 관찰한다.
ㄴ. 파격이면 파격의 정도를 관찰한다.
ㄷ. 관인국, 식상국으로 관찰한다.
ㄹ. 가장 필요한 글자가 무엇인지 관찰한다.
4) 부족한 오행의 관찰
ㄱ. 부족한 육친의 논리를 관찰한다.
ㄴ. 팔자에 미치는 영향과 해결책을 생각한다.
5) 신살에 의한 작용력과 관찰
ㄱ. 귀인이나 나쁜 신살을 관찰한다.
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 본다.
6) 공망의 관찰
ㄱ. 일주를 중심으로 공망 된 육친을 본다.
ㄴ. 년, 월, 일, 시에 어느 자리가 공망 인가를 생각해 본다.
ㄷ. 공망의 해를 만날 때 발생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 본다.
7) 사주의 특징을 관찰
ㄱ. 관인통명, 식상생재를 구분 지어 본다.
ㄴ. 재물과 명예의 가능성을 생각해 본다.
ㄷ. 처와 자식의 인연을 생각해 본다.
ㄹ. 년, 월의 기운을 중심으로 직업이나 전공을 생각해 본다.
ㅁ. 재물을 벌어주는 수단을 생각해 본다.
ㅂ. 월지에 간섭하는 인자를 관찰한다.
ㅅ. 재성인가 관성인가를 구분 한다.
ㅈ. 일간과 월지를 간지론의 입장에서 관찰한다.
8) 대운의 관찰
ㄱ. 어떤 운이 좋을지를 생각해 본다.
ㄴ. 대운 자체가 육친으로 하는 역할을 본다.
9) 대운과 세운을 연관지어 관찰
ㄱ. 대운이 좋고 세운이 나쁘거나 대운이 나쁘고 세운이 좋으면 그 작용력이 약하다.
ㄴ. 좋은 사주는 대운과 세운 중 어느 하나만 좋아도 충분히 사용 할 수 있다.
ㄷ. 나쁜 사주는 대운과 세운중 하나만 나빠도 고통을 당하기 쉽다.
ㄹ. 대운은 큰 환경이고 세운은 그날의 날씨와도 같다.
'간지론(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장. 상담 기술 (0) | 2018.04.15 |
---|---|
제6장. 사주 분석의 기술 (0) | 2018.04.07 |
제4강. 사주학의 사회적 역할 (0) | 2017.08.06 |
제3강. 여명잡론(女命雜論) (0) | 2017.07.10 |
제2장. 남명잡론(男命雜論) (0) |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