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강.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글자들 중에서 어느 오행이나 육친이 많은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힘 있고 강한 글자가 어느 오행에 속하고 어느 육친에 해당하는가를 구분하는 것이다. 기준은 천간은 3개 이상, 지지는 2개 이상이 있음을 말한다. 사주에 많은 글자라는 것은 팔자를 구성하는 오행이나 육친 중에 가장 힘 있고 강한 글자라는 의미로 팔자의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특기이자 적성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많다는 개념을 스스로 정리해보라. 월지가 있고, 일지나 년지를 얻으면 쎄다, 월지에서 월간이나, 간에 얻고 있어도 쎄다. 다 덤벼도 월지, 계절을 이길 수는 없다. 거의 지배적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직업을 거의 월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1) 오행 중에 많은 글자의 해석
(1). 木이 많은 경우
계절적으로 솟아오르는 봄의 기운이 많다는 것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기운이나 솟아오르는 운동이 강하다는 것을 말하고 하루에 개념으로는 아침의 기운이 많다는 뜻이다.
(2). 火가 없는 경우
계절적으로 여름의 발산하거나 확장하는 기운이 많다는 것을 말하고 하루에 개념으로는 낮에 기운이 많다는 뜻이다. 확장하여 해석한다면 세속적, 활동력이 좋다고 볼 수 있다.
(3). 土가 많은 경우
계절적으로 양과 음을 연결 시켜주는 기운이 많다는 것으로 기운적인 관점에서 중화의 기운으로 확장의 기운을 수렴 운동으로 연결시켜 주는 운동이 많음을 말할 수 있다.
(4). 金이 많은 경우
계절적으로 가을의 기운이 많다는 것으로 결실을 맺거나 떨어뜨리는 기운이 많다는 것을 말하고 하루에 개념으로는 저녁에 기운이 많다는 뜻이다. 마무리, 섬세함이 좋다고 볼 수 있다.
(5). 水가 많은 경우
계절적으로 겨울의 기운이 많다는 것으로 저장하고 수렴하는 기운이 많다는 것을 말하고 하루에 개념으로는 밤의 기운이 많다는 뜻이다.
2). 육친 중에 많은 글자의 해석
(1) 비견과 겁재가 많은 경우
비겁은 인간관계에서는 친구와 경쟁자를 뜻하므로 비겁이 많다는 것은 주변에 친구와 경쟁자가 많다는 뜻이다. 많고 강한 비겁은 재성을 극하므로 남자는 육친으로 편재를 부친으로 보고 정재를 아내로 보아 부친과 아내와의 인연이 좋지 못하다고 본다. 재성은 재물로도 보기 때문에 금전 운도 좋지 못하고 자존심이 강하고 고집이 세다. 비겁이 많으면 반드시 식상이 있어야 중화를 이루어 좋은 사주가 된다.
월지에 비견이나 겁재는 인연이 박하고 양인격이나 건록격은 타향에 가서 성공을 한다. 하지만 객지에 가서 죽을 고생을 한다. 편재를 극 하니까 아버지 하고는 관계가 없다. 옛날에는 엄청나게 무서운 일이다. 아버지를 떠나서 객지로 나간다는 것이. 건록격은 강한 힘은 있다. 반면, 부모 형제 복은 없다.
(2) 식신과 상관이 많은 경우
남자 사주에서 관성은 직장과 자녀를 뜻하는데 식상은 관성을 극하므로 직장과 인연이 없고 자녀와의 인연도 좋지 못하다고 본다. 여자 사주에서 관성은 남편과 직장을 뜻하는데 ㅅ남편과의 인연이 없고 직장과도 인연이 좋지 못하다고 본다. 상관이 많으면 교만하고 간사하며 포악한 성격을 지닌다. 자기능력을 과신하고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잘난 체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인심을 잃고 고독하다. 식상이 많으면 비겁이나 인성이 있어서 중화를 이루어야 한다.
식신 상관은 재성이 발달되어 있으면 좋은데 식상만 발달 되어 있으면 돌아다니기만 하고 돈을 못 벌고 다니기만 한다. 봉사만 하고 다닌다.
(3) 편재와 정재가 많은 경우
인성은 학문과 모친 그리고 문서재산을 뜻하는데 재성은 인성을 극하므로 학문에 장애가 있을 수 있고 모친과 인연이 없으며 문서재산과도 인연이 없거나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재성은 남자에게 배우자와 여자 그리고 재물을 뜻하므로 재성이 많으면 호색하여 여자문제가 많고 재물 욕심이 많다. 관성이 있거나 운에서 만나면 중화시키는 기운으로 발전할 수 있다.
사주에 재성이 많으면, 무조건 돈으로 본다. 재성은 인성을 극한다. 인성을 약화 시키면 건강이 약화되 버린다. 그러니까 돈을 벌려면 목숨을 걸어야 한다.
돈을 벌면 몸이 아프다.
몸을 혹사 시키면서 돈을 벌어야 한다.
돈도 벌이고 건강도 하고 이런 건 없다.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버려야 한다. 돈이 들어오면 아프다.
거꾸로 이야기 하면 돈 많은 놈은 돈을 쓰야 안 아프다. 계속 붙들고 있으면 아프다.
(4) 편관과 정관이 많은 경우
남자에게 관성은 직장을 뜻하는데 직장이 많기 때문에 한 직장에 오래 근무하지 못하고 여러 직장을 전전하는 경우가 많고 좋은 직장을 만나기가 어렵다. 관성이 많으면 급성질환이나 질병에 시달리고 정신이상이나 중병, 사고, 송사에 시달린다. 여자에게 관성은 남편인데 관성이 많으면 남편 덕이 부족하고 화류계와 인연이 있으며 남자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평생직장을 가지면 해소가 된다. 인성이 있어서 소통을 시켜주면 좋은 사주가 된다.
사주에 관성이 많으면, 관직으로 성공하지 못하고 윗사람 보좌역이나 공공단체 봉사직에 길하고 직책이 낮다. 관성이 많으면 많이 옮겨 다닌다. 직장이 많으니까 여기 갔다가 여기 갔다가 한다.
(5) 편인과 정인이 많은 경우
여자에게 식상은 자녀를 뜻하는데 인성이 많아서 식상을 극하면 자녀와의 인연이 없거나 약하게 된다. 인성이 많으면 운명, 종교, 학문 등이 길하고 다른 일은 안 된다. 인성이 많으면 학위나 능력에 비하여 직위가 낮은 관직에 머무르고 감투가 높지 않으므로 승진에 관계없는 연구직이나 교사직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인성이 재성과 중화를 이루면 좋은 사주가 된다.
인성이 뭐냐 하면 운명가, 종교, 문서다. 인성이 너무 많으면 다른 일이 잘 안 된다. 인성이 너무 많아도 자기중심적이 되고, 과잉보호 하는 경우가 많고, 오히려 성장 애로가 있을 수 있고, 엄마가 결혼하지 말라고 하더라. 엄마에게 물어보고 오겠다.
마무리
과일 나무를 보자
그냥 달린 채로 두면 다른 과일도 건강하지 못하다.
꽃도 마찬 가지다. 이렇게 짤라 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
작은 돌 복숭아처럼 되어 버린다.
그러나 솎아 주면 나머지 남은 과일은 굉장히 알이 굵고 건강하다.
가족 중에서도 누군가 대신 죽는 사람이 있어야 남은 형제들이 잘 된다.
재벌가는 항상 형제들이 많이 죽는다.
다른 형제들이 잘 먹고 잘 살려면 솎아내야 한다.
권력가나 장관들 주위에는 꼭 미친 사람이 있다.
재와 관에는 항상 죽었다거나, 돌았다는 사람이 항상 있기 마련이다.
이런 현상 때문이다. 그래야 한 명이라도 살아남는다.
내가 이렇게 살고 있으니까 너희들이 이렇게 살아가게 된다고 당당하게 예기해 줘야 한다.
이런 삶들 때문에 다른 형제들이 살아간다.
내가 좀 못 한다고 해서 기 죽을 필요가 없다.
어차피 몰랐으면 지금부터라도 알면 된다.
'간지론(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강. 육친론(六親論) (0) | 2015.10.07 |
---|---|
제6강. 근묘화실(根苗花實) (0) | 2015.10.06 |
제4강. 사주에 없는 글자의 해석 (0) | 2015.10.02 |
제3강.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0) | 2015.09.30 |
제2강. 대운(大運)과 세운(歲運) (0) | 201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