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강.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사주명조 작성법
사주팔자(四柱八字)의 뜻을 풀이하면 사주는 4개의 기둥이란 말로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를 말하며 각 기둥이 두 글자씩을 만들어 모두 여덟 글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팔자(八字)라고 한다. 여기에 생년, 월, 일, 시의 간지를 정하는 법을 설명하겠으나 대개는 만세력(萬歲曆)이라는 책을 이용하여 작성하는 바, 만세력을 준비하여 참고하기 바란다.
지금은 기준시를 동경 135도, 과거는 127도30분으로 썼다. 서머 타임은 여름에 하루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1시간을 앞 당겨 생활했던 것이다.1시간을 빼야 실제 시간이 된다. 강원도와 목포는 경도가 다르다. 편차를 정밀하게 계산해야 한다.
1. 년주(年柱)를 정하는 법
1년을 경계 짓는 기준은 입춘일(立春日)로 정하며 입춘을 기준으로 입춘 전에 출생하면 해당 년도에 출생하였어도 전년도의 년주를 사용한다.
입춘기년설이란,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궤도 운동을 할 때, 일정 지점을 지났을 때부터 봄이 시작되고 한 해가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봄이 시작되는 기준을 입춘이라고 한다. 하루의 시작은 밤 12시를 기준으로 삼더라도 입춘의 시작을 한 해의 시작으로 보는 것이 정설로 자리 잡고 있다.
2. 월주(月柱)를 정하는 법
사주의 주인공이 출생한 달의 간지를 가리켜 월주 또는 월건(月建)이라고 한다. 월주는 계절을 의미하며 사주팔자 중에서 가장 힘 있고 중요한 오행이며 이를 기준으로 격(格)을 잡는다. 1년의 기준을 입춘으로 정하듯이 월의 기준은 절기를 기준으로 정한다. 월지는 매년 같은 월지를 사용하고 월간은 해당 년도의 천간을 보고 붙이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 달의 시작은 절기를 기준으로 접입 일로 구분한다. 년을 정하는 기준인 입춘도 하나의 절기다. 12절괴 12기. 12절을 기준으로 삼는다. 입자가 붙는 달은 1, 4, 7, 10월이다. 해당하는 절기는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다.
(1) 월지(月支) 정하는 법
1월 --- 寅 월, 2월 --- 卯 월
3월 --- 辰 월, 4월 --- 巳 월
5월 --- 午 월, 6월 --- 未 월
7월 --- 申 월, 8월 --- 酉 월
9월 --- 戌 월, 10월 ---亥 월
11월 ---子 월, 12월 ---丑 월
(2) 월간(月干)을 붙이는 법
乙 庚 年 ----- 戊
丙 辛 年 ----- 庚
丁 壬 年 ----- 壬
戊 癸 年 ----- 甲
천간이 戊, 癸년의 정월(1월)은 甲寅월이고 2월은 乙卯월이고 3월은 丙辰월이 된다. 월의 구분은 12절기로 나누는데 접입일에 의하여 구분되어진다. 예를 들어 辰월생인데 접입일인 청명(淸明)보다 생일이 빠르면 전달인 卯월의 월주를 쓰고 辰월생이라도 巳월의 접입일인 입하(立夏)를 지났다면 巳월의 월주를 쓴다.
(3) 절기 및 기간
가. 봄
1월(寅) - 입춘 - (양력 2월 4일경 – 3월 5일경)
2월(卯) - 경칩 - (양력 3월 5일경 – 4월 5일경)
3월(辰) - 청명 - (양력 4월 5일경 – 5월 5일경)
나. 여름
4월(巳) - 입하 - (양력 5월 5일경 – 6월 6일경)
5월(午) - 망종 - (양력 6월 6일경 – 7월 7일경)
6월(未) - 소서 - (양력 7월 7일경 – 8월 7일경)
다. 가을
7월(申) - 입추 - (양력 8월 7일경 – 9월 8일경)
8월(酉) - 백로 - (양력 9월 8일경 – 10월 8일경)
9월(戌) - 한로 - (양력 10월 8일경 – 11월 7일경)
라. 겨울
10월(亥) - 입동 - (양력 11월 7일경 – 12월 7일경)
11월(子) - 대설 - (양력 12월 7일경 – 1월 5일경)
12월(丑) - 소한 - (양력 1월 5일경 – 2월 4일경)
3. 일주(日柱)를 정하는 법
일주는 태어난 날을 말하며 일주는 사주의 주인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하겠다. 일주는 사주의 주인공이 태어난 날의 일진을 쓰는데 하루를 나누는 기준은 자시(子時)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자시는 야(夜) 자시와 조(朝) 자시로 나눈다. 야 자시는 그날의 일진을 그대로 사용하고 조 자시는 다음날 일진을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전날 야 자시와 당일 조 자시는 시(時)의 간(干)만 달라진다. 예전에는 야 자시와 조 자시를 나누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었으나 시대적 변화에 맞게 좀 더 정확한 감명을 위하여 새로운 이론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사주팔자를 작성하는 방법은 만세력을 가지고 수작업을 통해서 직접 많은 연습을 해보는 것이 좋겠다. 요즘 컴퓨터 만세력이 나와서 그것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손에 익숙해질 때까지는 실제 연습이 필요하므로 직접 연습을 해보는 것이 좋겠다.
하루를 정하는 기준은 자시부터냐, 24시(0시)부터냐, 하루의 시작은 분명히 밤 12시부터 돌아오는 밤 12기까지다. 태양의 가장 반대편에 서 있을 때가 밤이다. 과거에는 전일 밤 11시부터 명일(다음날) 새벽 1시 사이를 자시로 삼았고 자시부터 이미 그 다음날의 기운이 온다고 봤다. 그러나 실제로는 밤 11시에서 12시 사이에는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므로 결국 실질적인 하루의 기운은 밤 12시까지가 된다.
4. 시주(時柱)를 정하는 법
시주는 사주 주인공이 태어난 시(時)의 간지를 말하고 시지는 월지(月支)처럼 정해져 있고 시간(時干)을 붙이는 방법으로 시두법(時頭法)이 있어서 두 가지를 소개하고 시간지 조견표를 아래에 소개하겠다.
(1) 시두법(時頭法)
甲. 己 日 ----- 甲 時
乙. 庚 日 ----- 丙 時
丙. 辛 日 ----- 戊 時
丁. 壬 日 ----- 庚 時
戊. 癸 日 ----- 壬 時
(2)시지(時支)표
朝子時 밤12시 30분 – 새벽 1시 30분까지
丑時는 오전 1시 30분 – 오전 3시 30분까지
寅時는 오전 3시 30분 – 오전 5시 30분까지
卯時는 오전 5시 30분 – 오전 7시 30분까지
辰時는 오전 7시 30분 – 오전 9시 30분까지
巳時는 오전 9시 30분 – 오전 11시 30분까지
午時는 오전 11시 30분 – 오후 1시 30분까지
未時는 오후 1시 30분 – 오후 3시 30분까지
申時는 오후 3시 30분 – 오후 5시 30분까지
酉時는 오후 5시 30분 – 오후 7시 30분까지
戌時는 오후 7시 30분 – 오후 9시 30분까지
亥時는 오후 9시 30분 – 오후 11시 30분까지
夜子時 오후 11시 30분 – 오후 12시 30분까지
5. 사주 정립법의 이해
옛날 책에는 자시를 하루의 기준으로 삼는다고 하였으나, 조자, 야자, 즉, 아침자시와 밤 자시를 구분하여 쓰는 예가 없었다. 검토한 결과 채택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되어 이를 모두 채택하기로 하였다. 시대가 변하고 모든 것이 변화하는 세상에 맞추어 명리도 진일보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꼭 필요한 경우만 암기하고 나머지는 이해력이 훨씬 더 많이 필요한 학문이 명리이다.
마무리
사주팔자를 정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만세력은 총이다. 만세력으로 빼는 연습을 많이 하라. 날짜와, 절기, 조자시, 야자시를 잘 관찰해야 한다. 입춘 절기를 잘 관찰하여 절기 전에는 전년도를 적용하고, 입춘 절입시를 지나면 올해 년간이 적용된다. 입춘의 절입시를 잘 관찰해야 한다.
'간지론(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강. 근묘화실(根苗花實) (0) | 2015.10.06 |
---|---|
제5강.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0) | 2015.10.05 |
제4강. 사주에 없는 글자의 해석 (0) | 2015.10.02 |
제2강. 대운(大運)과 세운(歲運) (0) | 2015.09.29 |
제1강. 12운성(十二運星) (0) | 2015.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