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론(고급)

제10강. 사주 분석의 연구

燕巖 2015. 11. 8. 21:32

 

10. 사주 분석의 연구

 

 

1. 사주 분석의 도구들

 

. 사주팔자의 글자를 관찰

. 사주의 기본인 조후 관계를 관찰한다.

지나치게 덥고 습하거나 지나치게 차고 건조한 사주는 우선 조후를 조율하지 않으면 수명에 문 제가 된다.

. , , , . , , , . , , , 를 별도로 묶어서 관찰해 본다.

제왕의 지지인 , , , . 를 관찰하고 , , , 를 장생과 역마의 작용으로 관찰하고 , , , 를 묶어서 입묘 작용과 각 글자들과의 관계를 살핀다.

. 방합으로 구분하여 강력한 세력의 글자를 관찰해 본다.

월지를 기준으로 방합으로 분류하여 오행의 강약을 관찰한다.

. 삼합으로 구분하여 삼합의 목적물을 본다.

. 합과 충을 관찰하여 청탁을 분리하여 본다.

 

글자를 왜 관찰해야 될까?

 

, , , .

, , , .

, , ,

, , , .를 재성이나, 관성으로 쓰는 사람하고,

, , , .를 재성이나 관성으로 쓰는 사람하고,

, , , 를 재성이나 관성으로 쓰는 사람하고는 격이 틀린다.

 

, , , .1등급이다. 안 변한다.

, , , . 2등급이고 두 가지로 변한다.

, , , 3등급, 잡기, 잡동사니다.

급수가 다르다. 뭘로 사주 구조가 형성이 되었는가를 봐도, 우리가 월지만 봐도 대충 안다.

월지가 직업이다.

 

, , , .

, , , .

, , , 인가만 봐도 대충 안다.

 

직업이

, , , .

, , , .

, , , 를 쓰는 사람하고 같을까?

 

그러면 , , , 월에 태어난 사람은 어떨까요?

벌써 급수가 틀려요. 잡동사니라는 것이다. 차이가 난다, 격이 없잖아요. 해봤자 재, 관 아니면 안 되고 결국은 투간 되고 확률적으로 봤을 때 , , , .봐요, 무조건 격이다. 봐 준다는 이야기다. 알아준다는 말이다.

 

, , , .월에 태어나면 어때요? 추진력이 있다.

, , , 는 본인이 안 한다. 입격될 자격부터가 틀린다.

그러니까 몇 월 달에 태어났느냐가 중요하다.

해월에 태어나도 , , , 에 태어난 사람보다 났다.

물론 입격은 안 됐지만 사실은 어떤 무기를 쓰느냐에 따라 다르다.

내 월지가 월지 하나만 봐도 벌써 눈치를 딱 알아봐야 한다. 급수가 바로 정해진다.

 

글자들이 구성되어 있는 모양만 봐도 대체적으로 이사람 주변에는 절대 양보하지 않는 대단한 사람들로 구성 되어 있구나를 알게 된다.

 

만약 이 글자가 월지에 다 있다고 생각을 해 보자.

 

경 일간이라고 보자.

子午卯酉

 

상관이고,

정관이고,

정재고,

양인이고,

 

전부 다 육친으로 전부 봤을 때

마누라도 엄청 똑똑하고, 한가락하고 최고로 재왕 아닌가.

양인 내 형제들도 엄청 잘 나가는 사람 아닌가.

상관 자식들도 다 있고, 밑에 사람도

육친관계에서 버릴 것이 없다. 최고 아니야 최고?

그러니까 다 주변에 똑똑한 사람들이 있다.

 

 

. 육친관계를 관찰

. 육친의 많고 적음을 관찰한다.

. 근묘화실을 이용하여 년, , , 시를 본다.

. 사주에 없는 육친을 관찰하여 부족한 논리를 생각해 본다.

. 부족한 것으로 인하여 생기는 관심사를 생각해 본다.

 

육친관계를 관찰한다는 것은 육친이 많고 적음,

그리고 근묘화실을 이용하여 없는 것도 관찰을 하고,

올려 쓰는 글자, 늦게 쓰는 글자를 살펴보고

뭐가 부족한가 사주에 모자라는 것은 절대하면 안 된다. 이런 것을 보면 된다.

 

 

. 격국 용신을 관찰

. 월지에 육친을 관찰한다.

. 파격이라면 파격의 정도를 관찰한다.

. 관인국, 식상국으로 관찰한다.

. 가장 필요한 글자가 무엇인지 관찰한다.

 

 

. 부족한 오행의 관찰

. 부족한 육친의 논리를 관찰한다.

. 팔자에 미치는 영향과 해결책을 생각한다.

 

없다는 것은 해당 오행이 의미하는 기능을 갖기 못했다는 뜻이고 해당 육친과도 인연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금기가 없다는 것은 뭔가 옆에서 결정지어져야 할 부분은 그래서 마누라 복이 많다는 것이다. 곁에서 딱 끊어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좋은 마누라가 되기 위해서는 금기가 강한 사람이다.

 

. 신살에 의한 작용력 관찰

. 귀인이나 나쁜 신살을 관찰한다.

.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 본다.

 

신유술, 해묘미,

뭐냐 하면 낙화작용과 격갈살은 똑 같다. 그 말이 그 말이다.

한자 한자 건너뛰어서는

 

신유술 해자축 인묘진 사오미

 

한자씩 건너서 뛰면 낙화다.

하고 하고는 왜 목을 따야 되느냐

이 품고 있는 것이 무엇이냐 .

은 신자진은 를 만들려고 하는 이고,

申子辰은 물을 만드는 작용을 하는데 둘은 반대다.

가만히 두면 이놈이 불을 만들어서 나를 말려 버린다.

그러니까 모가지를 따야 한다. 을 극한다.

 

하고 하고도 격각이다.

巳酉丑 金이고, 亥卯未 木이다. 金剋木

하나 건너뛰면 다 그렇다.

이것을 격각이라고 한다. 하고 하고를

 

낙화던 격각이던 신자진 하고 인오술은 반대 기운이다.

불과 물은 다 안도와 준다.

그래서 상생이고 오행은 필요가 없다.

낙화와 격각은 같다.

 

. 공망의 관찰

. 일주를 중심으로 공망된 육친을 본다.

. , , , 시에 어느 자리가 공망인지를 생각해 본다.

. 공망의 해를 만났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 본다.

 

격국 용신론을 공부할 때는 공망을 적용하지 않았는데 간지론에서는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 공망을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육친의 작용력이 정지되고 오행은 있는 것으로 보면 되고 대운 공망은 없고 세운 공망은 적용합니다. 지지가 공망이 되면 천간도 같이 공망이 되고 년, , , 시 자리 공망도 적용이 된다. 공망의 작용력은 공망을 맞은 육친은 무조건 없는 것으로 적용을 하면 안 되고 기능이 현저하게 약해지는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사주에 인연이 부족하다는 보탬이 안 된다. 없는 것이 더 낳다. 없는 인연을 억지로 만들려고 하니까 돈이 들어가든 뭐가 들어가던 하는 것이다. 필요가 없다. 사주에 없으면 차라리 없는 것이 났지, 아는 척 하지 말고 살아야 한다. 덕이 없다는 얘기다.

 

 

. 사주의 특징을 관찰

. 관인통명, 식상생재를 구분 지어 본다.

. 재물과 명예의 가능성을 생각해 본다.

. 처와 자식의 인연을 생각해 본다.

. , 월의 기운을 중심으로 직업이나 전공을 생각해 본다.

. 재물을 벌어들이는 수단을 생각해 본다.

. 월지에 간섭하는 인자를 관찰한다.

. 재성인가 관성인가를 구분한다.

. 일간과 월지를 간지론적인 입장에서 관찰한다.

 

 

. 대운의 관찰

. 어떤 대운이 좋을지를 생각해 본다.

. 대운 자체가 육친으로 하는 역할을 본다.

 

대운도 관성 대운이 오니까 어떨까. 인성 운이 없고 식상으로 살아야 되는데 그러니까 직장 다니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어쩔 수 없이 다녔겠지. 빨리 장사 할 수 있는 여건이 터졌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이렇게 살펴본다.

 

 

. 대운과 세운을 연과지어 관찰

. 대운이 좋고 세운이 나쁘다거나 대운이 나쁘고 세운이 좋으면 그 작용력이 약하다.

. 좋은 사주는 대운과 세운 중 어느 하나만 좋아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 나쁜 사주는 대운과 세운 중 어느 하나만 나빠도 고통을 당하기 쉽다.

. 대운은 큰 환경이고 세운은 그날의 날씨와 같다.

 

사주에 아무리 강한 육친을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그것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대운이 온다면 그것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운은 그 사람의 인생 항로를 거의 70% 결정을 짓는다고 보고 세운은 약 30% 정도에 영향력을 미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