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의 유래
음력 1월1일을 설날이라고 한다.
설이라는 말은 '사린다', '사간다'라는 옛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삼가다' 또는 '조심하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설날은 일 년 내내 탈 없이 잘 지낼 수 있도록 행동을 조심하고,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져 왔다.
설을 언제부터 쇠기 시작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중국의 사서에서 '신라 때 정월 초 하루에는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일 월 신을 배레했다'고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역사가 오래 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구한말인 1895년 양력이 채택되면서
신정과 구별되는 구정으로 빛이 바래기 시작했고,
일제시대에는 설을 쇠는 사람들이 핍박당하는 사태까지 이르렀다.
그 후 1985년에 설날을 '민속의 날'로 지정해 '설'의 명칭을 복원했고
사흘간 쉬기로 결정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설날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인데,
농경의례와 민간 신앙을 배경으로 한 우리 민족의 최대의 명절입니다.
새해를 시작하는 첫날인 만큼 이 날을 아무 탈 없이 지내야 1년 365일이 평안하다고 하여
지극히 조심하면서 가만히 들어앉는 날이란 뜻에서 설날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소원성취하시길 기원 합니다.
즐거운 고향 길 되시길 기원 합니다.